기준금리가 1%대로 떨어지면서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았던 기존 가계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지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소식에 따라 주택담보 대출자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고정금리 대출을 변동금리로 바꿔야 하는 지에 대한 고민이다.
추가적으로 금리 인하가 전망된다면 변동금리가 유리하다. 그러나 금융권 관계자들은 향후 2~3년내 급격하게 금리 인하가 이뤄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상승도 마찬가지로 경제 성장이나 가계부채 연착륙 등을 감안할 때 금리 인상도 쉽지 않다.
은행 여신담당 관계자는 "고정금리 대출자들은 해당 은행에 금리 인하를 요청하거나 중도상환 수수료를 감안해 대환할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만기 전에 변동금리로 갈아타는 것을 예를 들면 2년 남은 2억원의 3.5%대 고정금리 대출이라고 가정할 경우 연간 700만원, 총 1400만원의 이자를 갚아야 한다. 반면 0.2% 가량 인하된 변동금리로 갈아 탄 경우 연간 660만원, 총 1320만원을 갚으면 된다.
대환한 후 변동금리로 갈아타는 게 유리해 보이지만, 중도상환 수수료를 따져 봐야 한다. 중도상환 수수료가 1.5% 라면 추가로 300만원을 더 내야 한다. 따라서 당장 대환해서 갈아 타기 보단 유지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일각에서는 개인별로 금리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안정적인 고정금리를 추천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고정금리의 장점도 분명히 있다"라며 "고정금리가 부채관리 하는데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2% 안심전환대출과 변동금리대출 중 어떤 것이 유리할 지도 궁금증이 높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금리 인하 폭이 크지 않아서 고정금리로 가도 괜찮을 거 같다" 며 "앞으로 2~3년내 급격하게 변화할거 같지 않아 금리 상승의 부담이 없는 안심전환대출도 나쁜 선택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