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은 이날 전날 자정까지 채권기관으로부터 추가 지원 동의 여부를 취합한 결과 가결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추가 자금 지원을 위해 채권단의 75% 이상 동의를 얻어야 했다. 추가 지원에 대한 의결권은 신한은행(16.6%), 수출입은행 (14.2%), 우리은행(13.4%), 서울보증보험(10.1%), 산업은행(5.9%), 무역보험공사(5.8%), 농협은행(5.3%), 국민은행(2.9%), 광주은행(2.5%) 등이다.
앞서 경남기업은 지난 11일 조회공시 요구가 있은 뒤에야 자본잠식 사실을 시장에 공개했다. 자본잠식이란 적자폭이 커져 납입자본금이 잠식된 상황으로, 경남기업은 이달 말까지 자본잠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거래소로부터 상장 폐지된다. 이에 경남기업은 채권단에 전환사채 903억원의 출자전환과 긴급운영자금 1100억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채권단은 지난 18일에야 회생방안을 두고 첫 회의를 열 정도로 물리적인 시간이 촉박한 상태였다.
채권단 관계자는 “지난 20일 채권단 회의에서 서울보증보험을 제외한 나머지 채권기관들은 반대의사를 보였다”며 “자원외교 비리의혹 수사를 받고 있는데다, 3차 워크아웃 진행과정에서 외압설이 돌면서 선뜻 추가 지원하기는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당시 채권단 회의에는 전체 45개 기관 가운데 31개 기관이 참여했었다.
경남기업이 검찰의 자원외교 비리의혹 수사의 표적으로 떠오른 데다 최근 외압에 따른 특혜 지원 의혹으로 감사원 감사까지 진행되는 상태여서 뒤숭숭한 분위기가 형성됐다. 사실상 자원외교 비리의혹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데다 금융지원을 두고 외압설까지 돌고 있어 채권기관들이 추가지원에 부담을 느꼈다.
검찰과 감사원은 해외자원 개발비리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경남기업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남기업의 세 번째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과정에서 금융감독원이 채권단에 외압을 행사한 정황이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검찰도 비자금 조성과 탈세, 해외 돈세탁 여부 등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남기업에는 현재까지 2조2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이 투입됐다. 경남기업이 2013년 10월 세 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한 이후 투입된 지원 자금만 총 5800억원에 달한다. 경남기업은 이날 채권단의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상장이 폐지된 뒤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된다. 법정관리로 갈 경우 협력사 등 2차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