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해당 병원에서 치료 중인 중증 환자가 치료를 꺼려하게 될 수 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선의의 치료가 병원 경영에 타격을 준 만큼 정부의 피해 보상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메르스 엑소더스(대이동)’에 대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이재갑 한림대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병원 이름 공개로 입원력이 있거나 병문안을 갔거나 한 사람들이 즉각 신고하는 체계가 마련됐다”며 “해당 병원을 방문한 뒤 메르스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즉각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다만 “(메르스 병원 공개의 영향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다른 환자들이 불필요한 공포감에 갑자기 다 병원을 빠져나가거나 치료를 기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그는 정부가 3차 감염은 없었던 병원, 메르스 발병 이후 폐쇄한 병원 등 발병 상황에 따른 유형을 세부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의료노조 정재수 정책국장은 “병원 공개로 국민이 의심스러운 상황에 대해 스스로 대처할수 있게 됐다”며 “지방자치단체도 병원이 공개된 상황에서 각자 대응책을 고민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정 국장은 이어 “초동 대응이 실패한 핵심 내용이 병원 이를 공개하지 않은 것인데 첫 환자 발생 이후 벌써 보름이상 지났다”며 “적어도 지금보다 1주일 이상은 공개 시점이 빨랐어야 했다. 3차 환자가 발생하기 전에 대처했어야 했다”고 공개 시점에 대한 아쉬움을 밝혔다.
병원이나 의료진 등 의료계에서는 병원명 공개에 대해 병원 입장에서는 메르스로 의심되는 환자를 피하지 않고 선의로 치료를 했지만 감염자가 발생하고 병원 이름이 공개되면서 경영상 타격을 입게되는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