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듯 세계의 중심이 중국이었고 소중화라 불리는 조선 역시 당시 세계적인 선진국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화의 흐름을 놓쳐 19세기 메이지 유신을 단행한 일본에게 아시아의 패권을 내준게 두고두고 아쉽다.
만약, 16세기 우수한 해전기술로 남쪽바다를 항해했다면 우리에게도 해가 지지않는 대한제국연방을 만들지 않았을까? 만약 그들이 우리의 한복을 입고 음식을 먹고 한글을 쓴다면…. 생각만 해도 너무 신나는 일이다. 가끔 운전하다가 아바 노래를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한다. 대영제국을 건설하고 영어가 모국어인 영국인은 얼마나 편할까? 지구의 반대쪽을 가더라도 비틀스나 퀸 노래를 들을 수 있고 헐리우드 영화를 자막없이 보고 자국 음식을 쉽게 먹을 수 있고 모든 이가 영어하려고 기를 쓰면서 대화하려고 하니 너무 편리할 것이다. 심지어 영국영어가 정통영어라고 발음에도 정통성이 있다고 생면부지의 외국인에게도 우대받으니 말이다.
21세기가 열린지 벌써 15년이 지난 현재, 과연 대한민국에 사는 우리는 얼마나 세계인이 되었을까? 지금은 굳이 무력으로 식민지를 건설하고 원자재를 싸게 수입하는 제국주의 시대가 아니라 정보를 취합하고 투자를 잘하는 나라가 자본주의 제국일 것이다. 우리의 관심이 전세계 주식 시가총액 2%에 불과한 한국시장보다는 나머지 98%의 시장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이유이다.
삼성전자, 현대차 등 국내 유수의 상장사 임직원이 열심히 땀흘려 맺은 성과는 그들의 임금으로 보상을 받지만 그보다 달콤한 열매는 주주가 가져간다. 이머징 국가에서 제2의 삼성전자나 현대차는 나오게 되어있고 노바티스나 파이자 같은 선진국 제약회사는 전세계 제약, 바이오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따라갈 수도 없다.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봐라”, “큰 그림을 그려라” 라는 투자격언은 우물안 개구리가 되지 말고 큰 창공에서 멀리 내다보는 독수리가 되라는 말일 것이다. 영어만 잘하고 외국 문화를 막연히 따라하는 것 보다는 전세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크고, 넓고, 깊게 보는 생각과 시각이 우리를 진정한 세계인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