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전례 없는 대규모 완화정책이 막을 내리면서 전 세계 자금 흐름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연준은 1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발표한 성명에서 기준금리인 연방기금(FF) 금리 유도 목표 범위를 0~0.25%에서 0.25~0.50%로 인상했다. 이로써 2008년 12월 금융위기 이후 7년간 유지됐던 현행 제로금리(0~0.25%)가 끝나게 됐다.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금리인상에 나선 것은 미국의 경기 개선이 6년간 이어지고 있고 고용시장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기 때문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FOMC를 마치고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기저의 경제 체질이 꽤 양호하다”며 “이번 금리인상은 자신감의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현재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는 미국 등 주요국의 대규모 통화완화 정책으로 그야말로 돈이 넘쳐흘렀다. 그 막대한 유동성은 신흥국으로 흘러들어갔다. 특히 저금리로 달러 자금을 빌린 투자자들은 신흥국의 금융 자산이나 원유 등 상품 투자에 자금을 쏟아부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신흥국 회사채 발행 규모는 지난해까지 최근 10년 사이 4배로 성장했다. 2009년부터 2014년 사이 15개 신흥국 채권 펀드에 657억 달러(약 78조원)가 순유입됐다.
그러나 이들 펀드에서 올 들어 11월까지 4억9000만 달러가 다시 순유출되면서 신흥국에서의 자금이탈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신흥시장과 원자재 시장이 완화 머니로 투자를 지탱해온 터라 미국 금리인상이 이들 시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 나오고 있다.
연준의 ‘금융 정책의 정상화’ 행보도 전 세계 자금 흐름에 변곡점이 될 수 있다. 연준은 그간의 세 차례의 양적완화를 통해 장기 국채와 모기지담보부증권(MBS) 등의 매입 규모를 확대했다. 그 결과 연준의 보유재산은 현재 4조5000억 달러에 달한다. 현재 새로 자산을 사들이지는 않지만 연준은 시장의 혼란을 막고자 보유하고 있는 증권이나 채권이 만기를 맞아도 이를 그대로 재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금리가 상승하면 보유 자산에서 평가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준이 자산 규모를 줄여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당장 이 규모를 줄여나간다면 시장에는 충격을 줄 수 있어 연준이 쉽게 움직이기 어렵다는 평가다. 이에 양적완화 규모를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도 연준의 과제로 남게 됐다.
한편, 시장의 초점은 향후 금리인상 속도에 모이게 됐다.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전 세계 유동성 움직임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 옐런 의장은 “금리인상 후에도 완화적인 정책적 스탠스를 유지할 것”이라며 중기적인 기조는 여전히 금융완화 쪽에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3년 넘게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2%)를 밑돌고 있어 향후 물가 상승률이 예상대로 높아지지 않으면 추가 금리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