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대 주요품목 비중 80% 지속세…대(對) 중국·미국·일본에 의존일변도
“경기와 유가에 취약한 13대 주력품목의 수출 비중이 80% 내외로 수년째 변동이 없다.”
최근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 수출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한정된 수출 품목을 지적했다.
지난 5여년간 한국경제를 지탱해 온 우리나라 수출이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은 세계경제 위축에 따른 교역량 감소,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경기둔화, 저유가, 중국·미국 등 일부 국가로 편중된 교역 등 원인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특히 13대 품목의 수출실적을 보면 수년째 4000억 달러대를 유지해 보다 1년여 전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추이를 보면 2011년 4556억 달러, 2012년 4450억 달러, 2013년 4511억 달러, 2014년 4614억 달러에서 지난해 4178억 달러로 10% 가까이 감소했다. 13대 품목이 차지하는 수출 비중도 이 기간 각각 82.1%, 81.2%, 80.6%, 80.6%, 79.3%를 기록했다.
13대 품목의 수출 감소는 곧 전체 실적 하락을 의미한다. 지난달 13대 품목 수출은 2억86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 넘게 급감했다. 전체 수출 감소폭(18.5%)을 웃도는 수치다. 지난달 수출 감소폭은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8월 20.9% 이후 6년 5개월 만의 최대치다. 이를 견인한 13대 품목 수출 비중은 지난달 78.1%를 기록했다.
품목별 감소폭을 보면 △반도체 13.7% △무선통신기기 7.3% △평판디스플레이 30.8% △컴퓨터 27.6% △가전 29.2% △선박 32.3% △일반기계 15.2% △자동차 21.5% △자동차부품 13.6% △철강제품 19.9% △석유제품 35.6% △석유화학 18.8% △섬유류 14.7% 등 전 분야에 걸쳐 하락했다.
저유가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과 경쟁력 약화, 글로벌 수요 부진과 신흥시장 경기침체 등도 수출기업의 고민을 깊어지게 하는 이유다. 글로벌 경기와 유가 변동에 취약한 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보니, 상황이 바뀔 때마다 받는 타격이 크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이 같은 산업구조를 개선하고자 범정부 차원에서 수출 활성화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13대 품목에 대한 의존도는 높고, 대체 품목은 요원한 상황이다.
정부는 실적 호조세인 화장품과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SSD(반도체디스크) 등을 유망 품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지난달 화장품은 1억9900만 달러, OLED는 4억100만 달러 규모를 수출했다.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1%와 8.7% 증가한 수치다. SSD의 경우 2억4900만 달러로 기저효과(전년 동월 56.8% 증가 및 이달 신제품 출시 대기수요) 영향을 받았지만 견조한 실적을 거두고 있다.
품목 문제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는 수출이 일부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4분의 1을 넘는다. 중국은 제조업 경기 악화와 경기둔화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간재 자급률이 상승했다. 또 샤오미, 화웨이 등 중국산 전자제품과 자동차의 경쟁력이 향상됐고, 일반 소비재의 경우도 중국산 제품이 한국산 수입수요를 대체하는 추세다. 당분간 저유가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신흥국 경기둔화 심화, 수출단가 하락 등이 제약요인으로 작용해 수출 회복 여건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 따라 경제 성장과 물가상승률이 기대치를 밑돌 수 있다고 내다봤고, 일본 역시 부진한 수출을 이어가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에서 0.3%포인트 낮춘 2.7%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주요 지역별 수출 감소폭을 보면 △중국 21.5% △미국 9.5 △일본 18.2 △아세안 19.7 △중동 31.1 △중남미 35.8 등 EU(유럽연합)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실적이 급감했다.
이처럼 총체적인 수출 둔화세에 대해 주 장관은 “글로벌한 현상이지만 주력산업 경쟁력이 약화됐고 대체 산업을 찾지 못했다”고 진단하며 “새로운 시장과 품목을 찾는 동시에 중소 중견기업의 온라인 수출을 늘려 대응하겠다. 주력산업은 고도화하면서 새로운 주력산업을 만드는 방식으로 정책방향을 잡았다”고 밝혔다.
수출 활성화 대책으로 그는 “대기업 위주에서 중소·중견기업으로 수출 저변을 넓히고 자본재, 중간재뿐 아니라 콘텐츠와 기술 브랜드 등 경제적 부가가치를 늘려야 한다”며 “비중이 80%인 주력품목의 낙폭을 줄이고 화장품과 유아용품, 고급 소비재, 농식품 등 새로운 유망품목을 집중 발굴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