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부 차장
주식시장에서 들리는 이야기로는 정적VI를 이용한 신종매매로 A모씨가 지난해 수십억원을 벌었다느니 B모씨는 수백억원을 벌었다느니 하는 확인되지 않은 성공담이 퍼지고 있다.
얼마를 벌었는지 확인되지는 않지만 정적VI를 이용한 신종매매를 하는 투자자들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로 보인다. 정적VI를 이용한 신종매매는 주로 과거 상한가 따라잡기(상따)를 하던 세력들이라고 한다. ‘상따’ 세력들이 상하한가 폭이 30%대로 확대되면서 먹거리가 줄어들자 정적VI를 이용한 공매도를 찾아낸 것.
이 신종매매 기법 방식은 이렇다. 우선 종목이 급등해 정적VI가 발생한 종목을 찾는다. 추가적인 상승을 하지 않을 것이나 급등 이유보다 현 주가 상승이 과도하다고 판단되면 정적VI 이후부터 공매도(대주거래)에 나선다.
정적VI 발동 종목 중 70~80%는 급등한 뒤 제자리로 회귀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점을 노린 것이다. 이 자체만으로는 불공정거래의 혐의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저 제도의 틈을 이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두 가지다. 하나는 공매도(대주거래)가 기관이나 외국인 또는 큰손들과 달리 개인투자자들에겐 접근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일반투자자들이 대주거래를 하고자 해도 대부분은 대주 매도할 물량이 없다. 하지만 외국인이나 큰손들은 대주 매도할 물량을 조달하기가 더 쉽다.
특히 최근 일부 증권사에서는 일정 이상의 고액 투자자들에게 중소형 종목까지 대주거래를 할 수 있는 전용계좌를 열어 주고 있다. 이 전용계좌에서는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물량까지도 대주거래로 이용할 수 있다. ‘상따’ 세력들은 계좌 운용 규모가 크다 보니 당연히 이 전용계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불공정거래가 만연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이 대주거래에 나섰는데도 매수세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지 않을 경우 허위 또는 과장된 악재 내지는 호재에 대한 반박 논리를 퍼뜨린다. 실제로 최근에는 호재성 정보도 많지만 악재성 정보도 주식시장에 많이 돌아다닌다. 또 일부 언론이나 인터넷 증권 게시판 등에 악재성 내용을 제보하거나 안티가 돼 활동하기도 한다.
금융당국은 불공정거래가 주로 주가가 오르는 종목에서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과거의 경우에는 맞는 말이다. 하지만 파생상품을 비롯한 공매도 등 다양한 투자 방법이 있는 최근 주식시장에서 큰 규모의 불공정거래는 주가가 하락하는 데서 발생한다고 전문가들이나 투자자들은 보고 있다.
실제로 셀트리온, 아모레퍼시픽, 카카오, 대우건설 등 공매도가 급증해 피해를 봤다고 생각한 투자자들은 공매도 폐지까지 주장하고 있다. 공정하지 못한 공매도 기회와 악의적인 루머를 통해 불공정거래가 만연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도입한 적정VI 제도는 주식투자 규제 중 하나다. 금융당국은 불공정거래나 묻지마 테마주 등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해 도입했겠지만, 일부에서는 이를 역으로 이용한 불공정거래가 일어나고 있다.
부모들이 많이 하는 착각 가운데 하나는 자녀를 소유물로 생각해 자신들의 뜻대로 하려는 것이다. 정부 역시 마찬가지다. 규제와 강력한 법으로 시장을 통제하려 들고 자신들의 뜻대로 이끌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