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팜 기술고도화
“지금까지 스마트 팜을 도입한 농가의 생산성은 평균 25%, 소득은 31%나 증가했다. 이는 그간 정체돼 있던 농가 소득 향상의 혁명과도 같은 수준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스마트 팜의 효용성을 이같이 설명한다. 스마트 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온실, 축사 등의 생육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제어해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첨단 농장이다.
특히 스마트 팜은 농작물 재배시설의 온도·습도·햇볕량·이산화탄소·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해 적절한 상태로 환경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농작물 생산성과 효율성이 증대된다.
이를 위해 농진청은 2014년부터 농가의 스마트팜 활용능력 향상을 위해 토마토대학 등을 통해 4679건의 전문교육 강화, SNS 컨설팅을 실시했다. 또한 현장지원센터 8개소와 업체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스마트팜 기계적 결함·오작동에 대한 진단 및 AS(392건)가 가능토록 했다.
그 결과, 스마트 팜을 도입한 시설원예 농가는 2014년 60㏊에서 지난해 364㏊로 급증했다. 축산농가 30호에서 156호로 크게 늘어났다.
농진청 관계자는 “현재까지도 스마트 팜에 성공한 농장의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스마트 팜이 확대되고 있다. 오는 2017년까지 시설원예는 4000㏊, 축산농가는 700호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ICT-생명공학 통해 스마트 팜 기술 고도화 추진 = 농진청은 올해 우리 농가의 스마트 팜 효과를 더욱 확대할 정책을 꾀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생명공학기술을 융복합해 스마트 팜 농업의 첨단화와 자동화·고부가가치화를 더욱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온실, 축사에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농작업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한국형 스마트팜 표준모델 개발과 조기 실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진청은 올해 한국형 스마트 온실·축사 및 핵심부품을 표준화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시설원예 부문은 단동·연동형 스마트 온실 모델을 고도화하고, 온실 테스트 베드 활용 ICT 기기의 작동성능 등을 평가,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축산업 부문은 돼지, 한우, 산란계 등 6축종을 중심으로 급수 등 자동화기기·환경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축사관리모델’을 개발한다.
이어 농진청은 근적외선 분광법을 활용한 토양 유기물 센서 개발 등 농작업 자동화, 륜형 벼 제초로봇 등 로봇화 기반기술 또한 개발해 스마트 팜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계획이다.
측정 데이터 기반 생육관리 소프트웨어도 개발한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수집 기반을 확대하고 최적의 생육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 모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는 올해는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버섯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또한 내년에는 참외, 국화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이밖에 농진청은 스마트 팜의 확산 시기 단축을 위해 올해 품목별 ICT 현장투입 기술을 선정해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농진청은 이를 위해 올해 시범사업으로 10억원을 지원하며 스마트 팜 9곳을 통해 개발을 실시한다.
농진청 관계자는 “비닐온실이 많은 우리 농업에 맞는 한국형 스마트 팜 모델 개발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고장이 잘나는 공업용 기기 대신 습도가 높은 비닐온실 안에서도 견딜 수 있는 센서와 제어기기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선 스마트 팜 기기의 적정 수요를 만들어 개발 기업의 채산성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500억원대 스마트 팜 펀드도 신설 = 이 같은 스마트 팜의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농식품부는 올해 농식품 펀드 운용 계획에서 500억원 규모의 스마트 팜 펀드를 신설했다. ICT를 기반으로 한 농업의 과학화와 첨단 산업화의 토대 마련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난 4일에는 농촌진흥청과 함께 스마트 팜 연구개발(R&D) 투자계획안도 내놨다. 이번 계획안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40억원을 투자해 첨단 생산기술 개발사업 내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시스템 내역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농진청은 61억원으로 ICT 융합 한국형 스마트 팜 핵심기반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이어 산하 연구기관들은 올해 92억원을 지원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주관으로 스마트 팜 상용화 통합 솔루션 기술개발 융합 연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기관별로 분산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 팜 연구과제의 조정과 성과 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특히 연구기관 간 협업체계가 본격 가동될 경우 스마트 팜 보급·확산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