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연금 늘리고, 상속은 천천히
이처럼 은퇴 후에는 소득이 줄어들게 되지만 돈을 써야 할 곳은 오히려 늘어나게 된다. 특히 목돈을 지출해야 할 곳이 많이 생긴다. 예를 들어 자녀 교육비와 결혼비용에 허리가 휘청거리고, 이제는 좀 더 쾌적한 주택을 장만하고 싶을 뿐만 아니라 좋은 차도 사고 싶다. 건강관리에도 적지 않은 경비가 들어간다. 또 주위에서의 유혹도 많이 따른다. 주위에서 돈이 되는 좋은 사업이 있으니 퇴직금으로 투자를 해보라고 권하는 소리에 마음이 흔들리기도 하고, 자식이 자기 사업을 하고 싶으니 도와달라고 손을 내밀 때면 고민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혹을 이겨내야 한다. 연금자산은 누구도 건드리지 못하는 최후의 보루라고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퇴 후 적정 생활비는 퇴직 직전 소득의 60% 수준이지만,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의 명목소득대체율은 40%에 불과하다. 더욱이 실질소득대체율은 이에 훨씬 못 미치는 20%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 생애의료비 중 65세 이후 발생하는 비중이 50%를 넘을 정도로 노후에 의료비 지출이 집중되고 있다. 국민 1인당 생애의료비는 1억 원을 상회하고 있지만 이 중 건강보험에서 보장되는 수준은 62.5%에 불과하다.
갈수록 수명이 길어지면서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등 사적연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이미 65세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인구의 7% 이상이 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2017년에는 그 비율이 14% 이상이 되는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이면 20%에 달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고령화는 가속화되고 있지만 노후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공적사회보장제도의 보장 수준은 크게 미흡한 편이다.
은퇴자들이 신경을 써야 할 자산관리 요령의 또 다른 하나는 재산상속을 요령껏 해야 한다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조기에 자식들에게 전 재산을 물려주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자식들을 의존적으로 만들 뿐만 아니라 나중에 재산이 없는 설움을 겪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또 어쩌면 냉정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나의 노후를 책임져 줄 사람은 나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주변에서 일찍 자녀들에게 재산을 물려주었다가 나중에 그들에게 버림받고 비참한 노후를 보내고 있는 노인들을 종종 보게 된다. 또한, 자녀들에게 조기에 재산을 물려주는 것이 자녀들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이 갈수록 힘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