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라이프] 로보어드바이저 11월부터 투자자문서비스…아직은 무늬만 ‘투자 알파고’

입력 2016-07-13 11: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당국 내달 테스트베드 실시할 예정…시스템 오류 등 대비 규제체계 수립 필요

바둑기사 이세돌과 알파고의 세기의 대결 이후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금융권에서도 마찬가지다. 비대면 계좌개설과 인터넷은행에서 시작된 핀테크 논의가 자산 관리 분야에 접목되면서 AI에 기반한 자산관리 서비스인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에 대한 큰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을 의미하는 로보(Robo)와 자문 전문가를 뜻하는 어드바이저(Advisor)의 합성어로 일종의 인공지능 자산관리 서비스다. 투자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활용해 시장 상황에 맞춰 자동으로 자산을 관리해 준다.

금융조사기관 마이프라이빗뱅킹에 따르면 글로벌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의 운용자산 규모는 2018년 250억 달러로 올해(약 50억 달러)의 5배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해외에서는 웰스프론트(Wealthfront), 베터먼트(Betterment), 마켓라이더스(MarketRiders), 찰스슈워브(Charles Schwab), 뱅가드(Vanguard) 등 다수 업체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테스트베드 운영… 11월부터 투자자문 서비스 = 정부는 이르면 오는 11월부터 로보어드바이저가 투자자로부터 자산을 위탁받아 운용하거나 투자 자문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로보어드바이저 자문이 보편화되면 계좌개설부터 자산운용의 전 과정을 금융회사에 가지 않고 온라인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최근 ISA와 연금 등 연금 등 장기·복합 투자상품이 활성화되어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자문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그간 자문서비스 시장에서 외면 받던 소액 자산가들의 투자가 늘어나 전체 자산관리시장 규모가 부쩍 증가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로보어드바이저는 저렴한 비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개인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자문서비스의 혁신과 대중화를 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산관리서비스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금융감독당국은 로보어드바이저 등 핀테크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투자자 보호와 금융시장의 안정 도모를 위해 규제를 혁신하고자 다음 달 중으로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Regulatory Sandbox)’를 실시할 예정이다.

‘테스트베드’는 업계를 대표하는 몇몇 로보어드바이저를 샘플로 선정하고 이들의 알고리즘이 시장 예상치와 비슷한 결과물을 내는지, 투자자에 위험할 만한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은 없는지 등을 면밀히 확인하는 작업이다.

금융당국은 테스트베드를 통해 로보어드바이저의 유효성·안정성을 검증하고 서비스제공 과정에서 발견된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직은 걸음마 수준… “규제 체계 수립해야” = 현재 투자자문사나 증권사들이 개발한 자체 인공지능 시스템들이 즐비하지만, 아직은 전문인력이 참고하거나 활용하는 정도에 그친다.

증권사와 은행이 출시한 각종 로보어드바이저 상품들도 무늬만 인공지능에 가깝다. 인공지능이 실제 투자 자문과 운용을 직접 맡는 프론트 오피스(Front Office) 역할을 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로보어드바이저의 확산에 앞서 시스템 오류 등에 대비한 규제 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5월 말 한국거래소 여의도 사옥에서 열린 ‘2016 건전증시포럼’에서 “인공지능에 의한 금융사고는 사전 방지와 사후 책임 규명이 모두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가 기존 자문서비스와 동등한 의무를 준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된다”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최근 보고서도 별도의 규제 체계 수립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스템 오류나 시스템 간 경쟁 등에 의한 시장 쏠림 등 잠재적 시장 교란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다. 특히 인공지능 프로그래머에 대한 별도의 자격요건 규정, 시장감시 기관의 인공지능 시스템 구축 등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어서 남 위원은 인공지능 등에 기반한 비대면 영업의 확산이 디지털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금융 소외 계층의 금융 서비스 접근을 제한하고 투자책임을 투자자에게 전가하는 방편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거래소는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기능이 탑재된 차세대 시장감시시스템을 2018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