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이 기존 개발·시공을 넘어 관리·운영과 자산관리까지 영역을 확대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컬리어스인터내셔널코리아와 함께 12일 오후 서울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한국 부동산시장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모색’ 세미나에서 일본 부동산시장 벤치마킹을 통해 '개발-운영-자산관리'라는 밸류체인(Value Chain)의 융복합모델이 제시됐다. 세미나에서는 복합개발에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부동산과 유통의 융복합모델도 공개됐다.
첫 주제 발표에 나선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은 버블 붕괴 이후 택지가격 및 주택 착공실적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주택업체인 다이와하우스, 세키스이하우스 등이 일본 건설사 매출액 1,2위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다이와하우스와 세키스이하우스는 토목·건축 중심의 슈퍼제네콘을 뛰어넘었으며, 일본 대표적 종합부동산회사인 미츠이부동산 매출액을 추월했다.
그는 이어 “전체 주택시장 규모 축소에도 불구하고 임대주택사업 중심으로 기획·시공에서 관리·운영, 자산관리의 선순환 융복합모델을 구축한 상위업체의 경쟁력이 강력해지면서 나타난 시장 과점화 현상”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국내 주택업체도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소비자에게 토털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도 이어졌다.
허 연구위원은 “높은 전세 비중, 낮은 임대운영 수수료와 같은 시장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기업 구조개선을 추진해야 하는 시장 과도기동안 뉴스테이 정책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칸막이식 인위적 규제가 존재해 임대주택사업의 선순환 구조 핵심 역량 중 하나인 설계와 중개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허 연구위원은 “임대주택 및 부동산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업역 규제를 점진적으로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둘째 주제인 ‘일본 복합개발사업 트렌드’ 는 김선영 컬리어스코리아 이사가 맡아 발표했다. 김 이사는 “통상적으로 우리나라 복합개발형태가 일본에 후행해서 나타난다”며 “최근 국내에서도 상업용 부동산시장이 오피스 중심에서 리테일, 호텔 및 문화 복합시설 등 기능과 콘텐츠가 확대되는 클라우드 방식의 사업 시대”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