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클린’ 내년 출시 …시민단체 “노동자 입지 좁혀…협업모델 만들어야”
카카오가 내년 초에 선보일 예정인 ‘카카오클린홈’ 사업을 두고 카카오와 시민단체 사이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시민단체 사이에서도 찬성과 반대가 뒤섞이며 출시 이후에도 구설수에 오르내릴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클린홈은 모바일로 가사도우미를 호출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올해 말에 가사도우미 매니저앱을 먼저 출시해 가사도우미 선발 방식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출시도 하기 전에 관련 시민 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카카오의 사업 진출이 결정나기 십여 년 전부터 이들 단체는 가사도우미의 노동자 지위 입법화를 위해 노력해왔는데 카카오의 진출이 공익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앞서 5월에는 한국YWCA연합회·전국가정관리사협회·한국가사노동자협회 등 시민단체 3곳이 공동논평을 통해 “비공식부문 일용 노동의 공급을 강화해서는 안 된다”며 기술력을 가진 카카오가 해당 부문의 공익적 기업 및 단체와 협업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카카오는 7월 서대문, 서초, 관악 여성인력개발센터와 인력 양성과 교육을 중심으로 제휴 계약을 체결해 응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단체 일각에서는 여전히 비판적인 의견을 고수하고 있다.
최영미 한국가사노동자협회 대표는 “카카오가 처음 클린홈 O2O 사업 준비할 때 가사노동자협회 측을 찾아와서 매뉴얼을 알려드렸다”며 “하지만 자문만 얻고 실제로 사업 추진은 같이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큰 것이 아니다. 카카오는 가사 노동 분야에서 가치 있는 새 모델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배정미 한국YWCA 담당자도 “카카오처럼 파급력이 큰 사업자가 가사도우미 사업에 진입해서 순식간에 수수료 싼 중개 서비스를 확산시켜 놓으면 (사회보험과 같은) 근본적인 작업들이 안 된다”며 “기술의 편리성 때문에 지금까지 추구돼온 사회적 경제의 가치들을 존중받지 못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반대로 카카오의 가사서비스 진출을 기회로 바라보는 단체도 있다. 카카오와의 초기 협업 논의에서 53개 지부로 구성된 전국여성인력개발센터가 빠져나가고 잔류한 3개 여성인력개발센터(관악·서초·서대문)는 현재 카카오와 제휴 계약를 맺은 상태다.
서대문 여성인력개발센터 박정숙 관장은 “여성인력개발센터도 가사도우미의 취업 알선을 돕지만 충분치 않다”며 “카카오가 갖고 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일자리 알선 측면에서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에 카카오 관계자는 “우리는 비영리단체가 아니라 기업이기 때문에 주어진 법과 제도 안에서 최선의 방안을 찾겠다”며 “기존의 비영리단체분들과 여성근로자의 처우 개선 등은 공감하지만 입법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