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재계와 관련업계는 김영란법이 국내 대기업 골프장 시장 재편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던 접대 골프가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면서, 회원제 중심의 대기업 골프장의 상당수가 ‘경영 악화→자본 잠식→법정관리→퍼블릭 전환→매각’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지가 국내 30대 재벌 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44개 골프장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골프장의 시가총액은 1년 사이 1300억 원 가까이 증발했다. 시가총액은 회원권 값에 회원 수를 곱한, 이를테면 골프장의 자산 규모다. 지난 9월 김영란법 시행 이후 회원권 가격 하락과 적자 규모는 더욱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골프장들은 회원이나 가족회원, 지정회원 등을 동반하거나 이들이 직접 와서 사인을 하지 않으면 라운드 자체를 못 하는 곳이 많다. 빈자리가 생겨도 이른바 ‘물관리’를 위해 비회원을 받지 않아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이 크다.
이에 따라 대기업들의 골프장 사업 철수가 가시화할 전망이다. 동국제강은 20일 골프장 운영 계열사인 페럼인프라 지분을 루터어소시에잇코리아(루터PE)에 매각했다. 이는 자산 구조조정의 일환이지만, 골프장 사업에 대한 신뢰 하락도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기업이 골프장 사업에 집중한 것은 2007년 전후다. 당시에는 자체 비즈니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이 컸다. 그러나 골프 인구가 늘며 수익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너도나도 골프장 사업에 뛰어들었다. A기업 홍보 임원은 “회원권 사용처의 대부분이 김영란법에 저촉돼 무용지물이 됐다”며 “홍보실에 배정된 회원권도 모두 반납한 상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