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여수세계박람회 폐막 5년 만에 당시 국제관으로 쓰던 공간을 임대하는 공고를 냈다. 임대료도 최대 50% 인하해 준다. 활용처를 찾지 못한 여수세계박람회장이 골칫거리로 전락하자 정부가 고육지책으로 파격 조건을 내세워 직접 임대에 나선 것이다.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올림픽 시설물에 대한 사후 활용 문제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1일 해수부에 따르면 정부는 폐막 후 3년 동안 박람회장 전부를 통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박람회장이 너무 커서 이를 감당할 만한 사업자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폐막 후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박람회장을 분리해서 임대하는 방향으로 틀었다.
그제야 하나둘 민간투자자가 나타났고 1000억 원 규모의 호텔 2개도 지었다. 지난해 말에는 여건 변화에 따른 발전방향을 수립하고 웨딩홀 사업에 이어 올해는 사후면세점, 쇼핑몰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국제대회 유치 후 제대로 된 사후 활용 대책이 없었기 때문에 5년 가까이 돌고 돌아온 것이다.
1년 뒤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도 사후 활용 대책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동계올림픽을 치를 경기장은 총 12곳. 이 중 6곳은 기존 시설을 보완했고 나머지 6곳은 신축했다.
12개 시설 중 10개 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이 결정됐다. 현재 미결정된 곳은 정선 알파인 경기장과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두 곳이다. 이 2곳은 아직 관리 주체도 정하지 못했다. 사후 활용 방안이 결정된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강릉하키센터, 관동하키센터는 민간기업 및 대학 등과 관리 위탁하는 양해각서(MOU)를 맺었지만 세부 계약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적자를 면키 어려운 만큼 아무도 선뜻 나서지 않는 상황이다.
지자체에서는 사후관리를 위해 국가 지원을 지속 건의하고 있다. 자칫 정부 지원이 없어지면 사후 활용 계획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지난해 8월 리우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푸르렀던 올림픽 보조 수영장이 6개월도 안 돼 구정물이 담긴 채 방치된 모습은 올림픽 개최에만 힘을 쏟는 평창에 교훈을 주고 있다.
국제대회 유치를 경험한 A 과장은 “국제대회 유치에는 열과 성을 다하지만, 일단 유치에 성공하면 손을 놓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럴 바에야 유치를 안 하는 편이 낫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