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차이나, 동남아] “중국, 사드發 경제보복 더 강화…중동 등 새 판로 찾아야”

입력 2017-03-06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문가 제언, “중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동남아 시장이 대안”

한미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부지 제공 결정 이후 중국의 사드보복이 도를 넘어 롯데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 전반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국의 노골적인 ‘보복’은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 등으로 확대 진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성 조치를 취하면서도 국내에 대한 투자는 확대하는 등 ‘두 얼굴 행보’를 보이고 있어 국내 기업으로서는 중국 시장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7월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를 결정한 이후에도 중국 투자자들은 한국 채권과 주식을 대거 매입했다. 반면 한류콘텐츠를 제한하는 한한령(限韓令) 강도를 높여 규제나 불매운동 등으로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변경록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사드 보복은 철저한 ‘등가 대응’에 비유되는데 한국의 사드 배치가 구체화하는 단계마다 중국은 보다 강도 높은 조치로 대응해 왔다”며 “한반도에 사드의 실전 배치가 이뤄진다면 중국의 노골적인 경제적 보복 조치는 더욱 강화하며 절정에 이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현재까지 사드 보복 조치의 기조는 산업에 대한 초기 단계의 압박 외교와 직접적인 경제 제재로 진행됐으며, 향후 금융과 안보 등 전 분야에 걸친 고강도 제재로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고 변 연구원은 지적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국 의존도가 높으면 그만큼 위험도가 높을 것이며, 중국 시장이 더는 안정적인 시장은 아니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간 일찍부터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흑역사’를 써온 것을 거론하며 중국 사업을 모두 철수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 그러나 한국 경제에 중국 시장은 포기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달 대(對)중 수출은 28.7% 증가해 2010년 11월(29.7%) 이후 75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도 25%에서 지난달 26.9%까지 높아졌다.

특히 한류 의존도가 높은 화장품 업계의 한숨은 짙어졌다. 중국 정부의 트집으로 수입 불허 조치가 내려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의 전체 수출액은 41억8334만 달러로, 이중 중국은 15억7027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의 37.5%로 3분의 1이 넘는 수치다. 이에 국내 화장품 업계는 중국 이외에 다른 시장도 개척해야 향후 수출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강수민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화장품 기업들은 중국에 대한 노출도가 높은 가운데 중국에서 한한령 등의 제재조치에 따라 화장품 주가가 크게 흔들렸다”며 “중국 이슈로 화장품주가 피해를 본 것은 올해만 벌써 4번째로 안정적인 시장이 아님은 확실하다”고 진단했다.

유병규 산업연구원장도 최근 ‘경제위기극복 대토론회’에서 “중국 시장 의존도를 완화하고 다른 시장 확대로 눈을 돌려야 한다”면서 “동남아를 비롯해 중동으로의 한류 무대 확대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