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수요도 급감하지 않을 것..빈집활용·보유주택 임대전환 지원 등 관리대책 추진해야
인구 고령화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같은 주택가격 붕괴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앞서 일본은 1990년대 주택가격이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반토막난 상태다. 실제 1992년 이후 2016년까지 일본의 주택가격 누적하락률은 53%에 달하고 있다.
우선 자산가격의 경우 1986년부터 1990년 중 일본 6개 대도시 주택지가 상승률은 연평균 22.1%에 달했고, LTV도 100%를 초과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택지공급 조절과 LTV·DTI규제 등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해왔다.
또 단독·다세대주택 및 아파트(멘션) 비중을 보면 일본의 경우 주택시장 붕괴 직전인 1988년 각각 69%와 30.5%인 반면, 한국은 각각 38.3%, 59.9%(2015년 기준)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재고주택량 대비 연간매매건수로 비교한 주택매매회전율도 일본은 0.32%(2013년 기준)로 매우 낮은 반면, 우리나라는 10.4%(2016년 기준)로 차이가 컸다.
오강현 한은 과장은 “일본의 주택가격 급락도 글로벌 금융시장 붕괴 등 요인이 작용한 것이다. 우연히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와 맞아 떨어졌을 뿐 고령화만으로는 주택가격 하락요인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재개발·재건축 위주로 공급방식이 변모하고 있어 멸실을 동반해 순공급이 크지 않다. 또 아파트 비중이 많고 회전율도 높다.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고령가구의 주택처분이 단기에 집중될 경우 주택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거시경제여건과 이같은 요인 등을 감안할 경우 그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1~2인 가구가 늘고 있고, 임대소득을 얻기 위한 투자목적으로 최근 50~60대의 주택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점, 임대차시장 구조가 전세에서 월세로 변화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춰 주택수요가 급감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오 과장은 “인구고령화 진전은 중장기적으로 주택수요 증가세를 완만하게 둔화시킬 수 있지만 급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주택시장의 구조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고령가구의 수요 맞춤형 주택공급과 빈곤노년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확충, 빈집을 활용한 재고주택 관리 등 대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주택연금 활성화와 은퇴가구의 보유주택 임대 전환 지원 등 고령층의 주택매도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