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선영 산업1부 기자
현대차 노사는 이번 주 중 신임 노동조합 집행부 선출 관계로 중단했던 임단협 재개를 위한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그런데 임단협 재개 소식에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새로 꾸려진 현대차 노조 집행부 때문이다. 이제 막 새롭게 출발하려는 이들에게 이 무슨 ‘초 치는’ 소리냐마는, 걱정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강성파로 분류되는 신임 노조위원장이 당선 전부터 “투쟁하는 노조를 만들겠다”, “(임단협) 연내 타결에 연연해 사측과 졸속 합의를 하지 않겠다”는 등의 발언을 이어간 탓이다. 설상가상(雪上加霜), 기아차 통상임금을 현대차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현대차 노조가 제 밥그릇 챙기기에만 몰두해 ‘밥솥’이 깨지는 줄도 모르고 있다고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실제로 새 집행부가 선거 중 내놓았던 공약을 살펴보면 이러한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들은 퇴직과 동시에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사실상 60세로 돼 있는 정년을 65세로 연장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또한 상여금 800% 인상(현재 750%), 주간 연속 2교대 포인트 100만 원 인상(현재 50만 원), 주차장에 자동세차기 설치 등을 조합원들에게 약속했다.
주력 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의 부진으로 창립 이후 최악의 위기를 겪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회사의 상황은 그저 딴 나라 사정인 것만 같다. 더 큰 문제는 회사의 경영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남발한 포퓰리즘 공약 달성을 위해 현대차 노조가 앞으로 벌일 강경 투쟁이다.
한때 현대차 노조는 근로 여건 개선에 앞장서며 민주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더 이상 과거 저임금 노동과 인권 문제 등이 이슈화되던 시기에 형성된 대립적이고 적대적인 프레임으로 노사관계를 이끌어 나갈 수는 없다.
부디 현대차 새 노조 집행부에 대한 우려가 기우에 그치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