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팡팡] “‘예비 노벨문학상 주인공’, 우리도 있다” 재외동포 문인들
“그의 소설에는 위대한 정서적인 힘이 있다”
2017년 노벨문학상의 주인공은 영국 작가 가즈오 이시구로에게 돌아갔습니다. 이 소식에 일본 열도가 환호한 이유, 그가 바로 ‘일본계 영국인’이기 때문입니다. 수년째 노벨문학상 수상을 염원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눈을 돌리면 해외에서 활동하는 역량 있는 한국계 문인들을 찾을 수 있는데요.
현존하는 한국인 재외동포 문인들입니다.
이창래 Chang-Rae Lee국적: 미국출생: 1965년 서울수상: 헤밍웨이문학상, 아메리칸북상, 미국도서상 등
세 살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간 이창래 작가는 작품의 배경으로 한국이 빠짐없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의 소설은 미국 고교생과 대학생들의 필독서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노벨문학상의 유력후보로 늘 거론되어왔죠
아나톨리 김 Анатолий Ким 국적: 러시아출생: 1939년 카자흐스탄수상: 모스크바 시 문학상, 톨스토이 문학상 등
고려인 3세 소설가 아나톨리 김은 평범한 구성이지만 비범하고 철학적인 형식의 소설로 러시아 최고의 작가로 꼽힙니다. 그의 소설은 전 세계 30개 언어로 번역되었을 정도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죠.
유미리 ゆうみり국적: 한국출생: 1968년 일본수상: 기시다 희곡상, 이즈미쿄카 문학상, 아쿠타가와상 등
재일한국인 소설가 유미리는 암울했던 유년기와 재일동포로서 겪은 설움을 드러내듯 ‘가족’과 ‘죽음’을 작품의 주된 테마로 삼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의 자전적 경험이 녹아 있는 ‘정물화’는 국내에서 연극으로 무대화되기도 했죠.
서경식 국적: 한국출생: 1951년 일본수상: 에세이스트클럽상, 마르코폴로상, 후광 김대중 학술상 등
재일한국인 2세 서경식 작가는 1970년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두 형들의 석방과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활동을 20여 년간 해왔는데요. 그 경험으로 이후 인권과 소수 민족을 주제로 문필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현월 げんげつ국적: 한국출생: 1965년 일본수상: 아쿠타가와상 등
현월은 제주도 출신 아버지를 둔 재일한국인 2세 작가입니다. 그는 재일 한국인의 슬픈 과거사를 표현한 ‘그늘의 집’으로 ‘일본의 노벨문학상’이라고 불리는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했죠.
이회성국적: 이회성출생: 1935년 러시아수상: 군상 신인상, 아쿠타가와상 등
러시아 사할린에서 한국인 광부의 아들로 태어난 재일한국인 이회성 작가는 1968년 일본 문단에 데뷔했습니다. 그는 일제 식민지 조국을 떠난 민족의 슬픔과 사할린에서의 경험 등 자전적 소재를 주로 다뤘습니다.
허련순 許蓮順국적: 중국출생: 1955년 중국수상: 중국 소수민족상, 단군문학상, 장백산 문학상 등
조선족 작가 허련순은 1986년 단편소설 ‘아내의 고뇌’로 등단했습니다. 그는 연변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 등을 주제로 한 소설들로 다수의 문학상을 휩쓸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으로도 활동 무대를 넓혔죠.
쉰네 순 뢰에스 Synne Sun Løes 국적: 노르웨이출생: 1975년 서울수상: 브라게 문학상 등
한국계 노르웨이 작가 쉰네 순 뢰에스는 생후 7개월 쌍둥이 오빠와 함께 노르웨이로 입양됐는데요. 정신병동 간호사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과 죽음, 삶에 대해 그립니다.
주로 이민자로서의 애환을 그려온 재외동포 문인들은 이제 소수민족 작가를 넘어 그 나라의 주류 작가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비록 한국적 색채를 띠지 않더라도 한국인의 정체성을 가진, 미래 노벨 문학상의 주인공이 될지도 모를 그들의 문학에 관심을 기울여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