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사외이사 자리에 정부 부처나 권력기관 출신의 고위 관료, 판·검사 출신이 대거 포진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감독원 정보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재벌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10대 기업의 지주회사 및 주력 계열사의 사외이사 43명 중 정부 고위 관료와 판·검사 출신이 22명으로, 절반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14명이 청와대나 기획재정부 출신 관료에 해당했다.
또한 대기업을 상대로 공정거래 감시 업무를 하는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2명과 기업 세무조사 업무를 담당하는 국세청 출신 3명도 포함돼 있었다. 이밖에 판사와 검사 출신이 각 4명, 교수가 12명, 기업과 회계사 임원, 4성 장군 출신 등이 대거 포진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삼성전자), 하금열 전 대통령실 실장(SK), 윤대희 전 국무조정실장(LG), 이윤호 전 지식경제부 장관(롯데지주), 현오석 전 기획재정부 장관(GS), 김창록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한화) 등이 대표적인 고위 관료 출신에 해당한다.
공정위 출신으로는 이동규 전 사무처장(현대자동차), 안영호 전 시장감시국장(신세계)이 있고 국세청 출신은 박윤준 전 차장(신세계), 이병국 전 서울지방국세청장(현대자동차), 김창환 전 부산지방국세청장(두산) 등이 있다.
일각에서는 사외이사가 대주주와 경영진을 견제하기보다는 로비에 활용되거나 기업의 부정이나 불법을 가려주는 방패막이 역할로 악용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선후배 관계가 확실한 공무원이나 법조계에서 장·차관이나 검사장, 법원장 등의 경력은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란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퇴직자들의 전관예우를 막기 위해 퇴직자 등 외부인과 접촉 시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하는 ‘외부인 접촉 관리 규정’을 시행 중이다. 그러나 대기업에 재취직한 공정위 퇴직자들이 여전히 공정위를 대상으로 로비스트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