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을 불러오는 뇌전증 증상은 이와 동시에 정신을 잃었다가 깨어나게 되는데, 정신을 잃을 당시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작 증상으로는 팔다리 경직, 입술을 깨물거나 침을 흘리는 증상, 전신 경련 등의 다양한 증상들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발작이 최소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2번 이상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뇌전증은 아직 명확한 원인과 치료법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유전적 요인,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후천적 요인 등 발병 원인은 다양하며, 증상도 부분발작, 전신발작과 함께 호흡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부분발작만을 앓고 있던 환자가 전신발작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전문의들은 뇌전증이 위험한 이유에 대해 연령을 가리지 않고 발병하며 성장 장애와 대사장애를 동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뇌전증 환자는 13만 7760명으로, 이 중 9세 이하 소아뇌전증 환자는 10,575명에 이르는 등 국내 영유아 뇌전증, 소아간질, 발달 장애를 겪는 아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큰 문제가 되는 소아뇌전증은 현재 대부분 항경련제의 복용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아가 항경련제를 지속해서 복용할 경우 피로감이나 무기력감 등의 부작용은 물론 정서적, 신체적 성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정영목 강남 신출한의원 원장은 “한의원에서의 뇌전증 치료는 강한 금석지제의 처방을 사용하지 않고, 환자가 장기간 치료에 순응할 수 있도록 막힌 기혈을 뚫어 줄 수 있는 처방을 하고 있다"라며, "같은 뇌전증이라 할지라도 발병원인은 다를 수 있으니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약재와, 알맞은 치료를 적용해야 한다. 질환의 근원적인 요인을 잡는 게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이어 “뇌전증은 발병 시기가 길어지면 치료가 어려우므로 발생 조기부터 관리하는 게 좋다. 치료를 결정하기 전 의료기관을 잘 알아보고 결정해야 부작용 없고 만족도 높은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특히 부작용 위험의 우려가 있는 약재를 사용하는지, 의료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지 등을 잘 확인해봐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