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 AI 육성 위한 TF 꾸려…충분한 데이터 수집·전문인력 확보가 관건
올해 초 인도 정부는 태스크포스(TF)를 꾸려 AI 기술과 인프라 개발에서부터 데이터 사용, 연구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담은 5개년 계획을 내놓았다. 인도 상공부 장관이 임명한 TF는 로봇과 자율주행 트럭, 첨단 금융기술 등 AI 기술을 개발하는 6개 센터와 시험기관 등을 관장한다. TF는 정부에 민간 부문과의 협력도 제안했다.
이에 인도 정부는 국방과 농업, 환경, 교육 등 10개 분야에 AI를 배치한다. 국방에서는 테러 공격을 예측하고 효과적인 진압 작전을 마련하는 데 AI를 활용해 공공시설 및 주요 인프라를 보호할 예정이다. 농업 분야에서는 AI를 이용해 과거 데이터를 분석해 수확 시기를 모니터링한다. 재배 작업에 무인 로봇을 도입할 수도 있다. 환경 부문에서는 대기로 배출되는 매연과 토양과 하수도로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과 오염도를 자동화하고 제어하는 데 AI를 이용할 수 있다.
컨설팅기업 액센츄어에 따르면 AI가 기업과 사회에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내면서 2035년 인도 경제에 총 9570억 달러(약 1000조 원)에 달하는 총부가가치(GVA)를 창출할 전망이다.
AI 효과로 인도의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3%포인트 더 높아지고 2035년에는 국민소득이 15%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레카 메논 액센츄어인디아 부회장은 “AI가 사람들을 자유롭게 하는 ‘플라이 휠 효과’를 일으켜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현재 인도의 AI 기술이 미국과 중국 등 세계적인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액센츄어 보고서는 “인도의 AI 기술 개발은 주요 국가보다 뒤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리서치 기업 IDC의 리슈 샤르마 인프라 담당 리서치 매니저는 “인도가 AI 분야에서 세계적인 위상을 확보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인도에는 미국의 구글과 아마존 같은 IT 대기업이나 중국의 바이두, 알리바바처럼 막대한 자본을 가진 기업이 없다. 이들은 첨단기술 연구에 투자할 능력이 있는 기업이다.
전문가들은 인도 데이터의 품질이 좋지 않고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면서 이러한 걸림돌을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샤르마 매니저는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프라이버시와 윤리를 해치지 않으면서 AI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액센츄어는 유럽의 주요 대학과 달리 인도의 주요 기술 대학교가 AI 생태계를 강화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짚었다.
그러나 인도의 잠재력은 충분하다. 인도는 2016년 기준 주요 20개(G20) 국가 중 AI 스타트업 수가 세 번째로 많은 국가이다. 링크트인은 인도가 미국과 중국에 이어 AI 기술을 갖춘 인력이 많은 나라라고 평가했다. 인도 정부 산하 싱크탱크 니티아요그는 인도가 AI 혁명에 핵심적인 지분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영국 BBC방송은 인도의 거대 인구가 스마트폰을 구입하고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방대한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