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시나리오는 기준금리 3.5%까지 올리는 것…트럼프 압박·경기둔화 등 변수로 조기 중단론 거세져
연준은 오는 2020년까지 인상을 계속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었으나 최근에는 내년에 인상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소개했다.
연준은 전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낸 성명에서 “추가 금리 인상이 정당화하고 있다”고 표명, 12월 회의에서 올 들어 네 번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 경제가 호조를 보이고 실업률도 반세기 만의 최저치를 유지하고 있어 연준이 다음 달 금리를 올려도 놀라운 것은 아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초점은 향후 금리 인상 속도와 종료 시점에 맞춰져 있다. 2015년 말 시작된 금리 인상 사이클이 계속된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는 2% 이상으로 높아졌다. 연준 경제전망 보고서를 살펴보면 핵심 시나리오는 2020년까지 금리를 계속 올려 3.5%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금리 인상 조기 중단론이 거세지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지난 9월 취임한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10월 강연에서 “내년에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 예상을 넘어서는 금리 인상에 반대할 것”이라며 “미국 경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있어 인플레이션 압력은 제한적”이라고 단언했다. 클라리다 부의장은 컬럼비아대학 경제학 교수를 역임한 통화정책 전문가다.
랜들 퀄스 부의장도 지난달 “잠재 성장률이 높아지면 금리 인상은 더욱 완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금융 규제를 전담하고 있어 금리 전망과 관련한 발언은 이례적이다. 파월을 뒷받침하는 연준 부의장 2명 모두 금리 인상 장기화에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는 의미는 크다.
연준이 원래 중립금리를 3% 정도로 예상하고 있었다는 것이 논란의 배경에 있다고 신문은 풀이했다. 중립금리는 경기를 냉각하지도 과열시키지도 않는 이상적인 금리 수준이다. 계획대로 3.5%까지 기준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크게 식을 수 있다는 불안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과 향후 예상되는 경기둔화 가능성도 금리 인상 조기 중단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트럼프는 연일 연준의 긴축 기조를 성토하고 있다. 연준이 금리를 중립금리 수준인 3.0% 이상으로 인상하려면 이런 트럼프의 압박을 물리칠 수 있는 이론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파월 의장 자신도 물가에 과열 조짐은 없다고 말하는 판국에 긴축을 유지하기가 아렵다는 것이다.
재닛 옐런 전 연준 의장은 지난달 30일 미국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아직 물가는 급속하게 오르지 않고 있다”며 “연준이 2020년까지 긴축정책을 지나치게 펼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대형 감세 효과가 희미해지는 내년부터 미국 경기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0년 대선을 앞두고 백악관은 경기동향에 더욱 촉각을 곤두세울 전망이다. 아무리 연준이 독립성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인사권을 지닌 대통령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신문은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