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구매비 대폭 감소
시장에선 흑자 전환의 주요 요인으로 원전 가동률 증가를 꼽고 있다. 그동안 철판부식 등으로 정비를 받아온 원전들이 3분기에 재가동되면서 전력 구매비가 크게 낮아졌다는 것이다.
원전의 발전 단가(정산 기준)는 2017년 기준으로 1㎾h당 60.7원으로 석탄(78.5원), 재생에너지(90.2원), 액화천연가스(LNG·111.6원), 유류(165.5원) 등 다른 발전원과 비교해 가장 저렴하다. 한전이 계속해서 적자를 낸 것은 가동이 중지된 원전을 대신해 단가가 높은 발전원의 전력 구매를 확대한 탓이었다. 앞으로가 문제다. 원전과 석탄 발전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이겠다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본격화되면 한전의 경영 여건이 더 악화될 수 있다.
정부의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원전 발전 비중은 2017년 30.3%에서 2030년 23.9%로 낮아지며 같은 기간 석탄 발전도 45.4%에서 36.1%로 줄어든다. 반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6.2%에서 20%로, LNG는 16.8%에서 18.8%로 확대된다.한 전력업체 관계자는 “발전 단가가 저렴한 원전과 석탄 발전을 줄이고 발전 단가가 비싼 재생에너지, LNG 발전 비율을 높이면 한전의 전력 구매비가 늘어 실적 부담을 키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따른 보조금 지급 증가도 한전에 큰 부담이다.
윤한홍 한국당 의원에 따르면 정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발전의무비율(RPS)을 기존 10%에서 28%로 대폭 상향할 경우 한전이 민간 재생발전사업자들에게 줘야 하는 보조금은 48조4135억 원에서 80조1405억 원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됐다. 신재생발전 의무공급자인 발전 6사가 해당 RPS 비율을 못 채우면 민간 재생발전사업자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하는데 이 비용은 한전이 모두 부담한다.
윤 의원은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한전의 경영 악화가 불가피하고 이는 결국 전기료 폭등으로 이어져 국민 부담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