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분야 진출한 여성 고위직 비율 가장 저조"

입력 2018-12-3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7년 국가·지역 성평등지수 측정 결과 발표

▲국가성평등지수 분야별 현황.(자료제공=여성가족부)
성비가 완전히 평등 상태는 100점이고, 완전히 불평등 상태는 0점이라면, 우리나라 성평등지수는 어느 수준일까.

여성가족부는 2017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여가부는 국가와 시·도별 성평등 수준을 파악해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추진 방향을 수립하고, 분야별 과제를 점검하기 위해 매년 국가와 지역의 성평등 정도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국가·지역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 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 경제활동, 의사결정 등 8개 분야로 구성된다. '완전한 성평등 상태'는 100점으로 산정된다.

결과에 따르면, 2017년 국가성평등지수는 71.5점으로 나타났다. 지역성평등지수는 74.4점으로 2016년 대비 국가 0.8점, 지역 0.9점 상승했다.

국가성평등지수는 2013년 68.9, 2014년 69.1, 2015년 69.9 수준이었다. 지역성평등지수는2013년 72.0, 2014년 72.1, 2015년 72.8, 2016년 73.5다.

분야별 성평등 수준을 살펴보면, 보건 분야가 97.3점으로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은 반면, 의사결정 분야는 29.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강 관련 삶의 질(EQ-5D) 성별 격차는 97.2점, 건강 검진 수검률 성비는 96.9점, 스트레스 인지율 성비는 97.7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회의원 성비는 19.9점으로 20점도 채 되지 않았다. 4급 이상 공무원 성비는 17.1점으로 더 낮았다. 관리자 성비(19.3점), 정부위원회 위촉직 성비(61.0점)도 마찬가지다.

전년에 비해 8개 분야 중 5개 분야의 성평등 수준이 나아졌다. 특히 의사결정 및 문화‧정보 분야가 가장 크게 개선됐다.

정부의 여성대표성 제고 노력에 힘입어 정부위원회 성비, 4급 이상 공무원 성비, 관리자 성비 등은 상승했으나, 의사결정 분야(29.3점)는 다른 분야에 비해 여전히 눈에 띄게 낮은 상황이다.

지표별로 살펴보면 전체 25개 중 19개 지표가 상승했다. 육아휴직자 성비(6.1점), 정부위원회 성비(5.0점), 관리자 성비(4.4점) 등이 크게 상승했다.

지역별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의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위지역은 광주, 대구, 대전, 제주(이상 4곳, 가나다 순), 하위지역은 경기, 경북, 전남, 충남(이상 4곳, 가나다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에 비해 등급이 상승한 지역은 3곳으로, 제주(중상위→상위), 인천(중하위→중상위), 울산(하위→중하위)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경제활동은 제주, 의사결정은 광주, 교육·직업훈련은 서울에서 성평등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건정 여가부 여성정책국장은 "공공부문에서는 정부의 여성 대표성 제고 노력에 힘입어 위촉직 위원 성비, 공무원 성비가 개선되는 등 성평등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면서 "여전히 의사결정 분야에서는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민간 기업에서도 여성대표성이 제고되도록 사회 전반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