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시세가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시점 전으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 발표 직후에도 한동안 이어지던 상승세가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2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매매가격지수는 최근 11주 연속 하락하면서 21일 기준 107을 기록했다. 이는 9·13 대책 발표 전인 지난해 9월 10일(107.1)보다 내려간 수치다.
서울의 5개 권역 모두 9·13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특히 아파트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은 가장 먼저 하락세로 돌아서며 10월 중순 109.7에서 8월 말 수준인 108까지 내려간 상태다.
서울 아파트가격 상승세는 지난해 4월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시행으로 잠시 둔화하는 듯했지만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의도·용산 개발 계획을 발표하며 다시 불이 지펴졌다. 이에 더해 다주택자들은 임대사업 등록 혜택을 이용해 주택 매수세에 나서며 가격 급등을 부추겼다.
이에 8월 말 박원순 시장은 집값이 안정될 때까지 개발 계획 발표를 무기한 보류하기로 했다. 이어 9·13 대책이 발표되며 임대사업자 혜택이 축소되고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가 가해졌다. 특히 이날 발표서 공시가격을 현실화하기로 해 보유세 부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후 주택 수요자는 관망하고 급매물이 종종 나오는 장세에서 실거래가격이 종전 고점 대비 급락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잠실 5단지는 전용면적 76㎡가 이달 17억 원 초반에 거래되며 지난해 최고 호가보다 2억~3억 원 가격이 내려갔다. 은마는 이달 전용 76㎡가 지난해 최고 호가보다 2억~3억 원 내려간 14억 원 중후반대에 거래됐다.
가격이 더 내려간다는 판단에 따라 주택시장의 매수자 우위 성향은 짙어지고 있다. 감정원에 따르면 21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동향은 81.6으로 2013년 8월 26일(79.4) 이후 5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매매수급동향은 100을 웃도면 수요 우위, 100을 밑돌면 공급 우위임을 뜻한다.
정부가 시세가 오른 만큼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올리기로 하면서 시장은 더 얼어붙을 것으로 보인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종부세 세율과 공정가액비율이 인상된 데다 공시가격까지 큰 폭으로 오르면서 보유세 부담이 커지게 됐다”며 “집값 상승 동력을 잃은 상황에서 투자심리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