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가격 급등 ‘공포’가 단독주택에서 공동주택으로 퍼지고 있다. 특히 공시가의 실거래가 반영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권에 공시가 급등이 예상되며 주변 아파트 시장도 얼어붙는 형국이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불패’를 자랑하던 서울 아파트 시장의 매도자들이 전국 평균보다 못한 상황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동향은 78까지 내려가 전국 평균인 80.2보다 낮은 상황이다. 매매수급동향은 100을 웃도면 수요 우위, 반대면 공급 우위로 수치가 낮아질수록 매도자가 집 팔기 어렵다는 뜻이다.
이에 아파트값도 따라 내려갔다. 서울은 지난달 28일 기준 전주 대비 0.14% 내려가며 5년 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고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강남구는 0.59% 내려가며 전주(-0.25%)에 2배 가까이 되는 낙폭을 보였다.
지난달 24일 표준주택 공시가가 발표되면서 정부의 공시가 현실화 의지가 실현됨에 따라 시장도 출렁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28일 기준 시세는 표준주택 공시가 발표 이후 처음으로 조사된 시장 상황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표준주택 공시가를 발표하면서 “가격이 많이 오른 지역의 공시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는 잘못된 관행이 있었다”며 “앞으로는 오른 만큼 시세를 적극 반영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는 결국 서울에 초점을 맞춰 공시가를 현실화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달 31일 국회에서 열린 ‘공평과세 실현을 위한 공시가격제도 토론회’에서 “참여연대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국토부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공동주택 실거래가는 전국 평균보다 60~70% 높았던 반면 공시가의 실거래가 반영률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고 설명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서울의 실거래가 반영률은 63.6%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이 수치는 평균 실거래가 반영률 67.2%보다 3.6%p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7월까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8년 서울 자치구별 공시가 실거래 반영률은 집값이 많이 오른 지역 중심으로 낮았다. 성동구(59.5%), 용산구(59.9%), 강남구(60.7%), 마포·송파구(61.2%), 동작구(61.7%), 송파구(61.8%) 등 순이었다.
서울 강남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보유세가 부과되는 아파트가 몰려있는 지역이니깐 집주인들이 공시가 인상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현재 매수 문의도 거의 없는데 4월 말에 공시가까지 급등하면 집 팔긴 더 어려워질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