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반도체 등 9개 주력 품목 줄줄이 마이너스
지난달 수출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간 것은 반도체를 비롯한 우리 주력 품목 대부분이 부진을 면치 못한데 있다. 여기에다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수출 부진 흐름이 지속된다면 한국 경제 성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월 기준(전년대비) 13대 주력 품목 가운데 자동차(12.9%), 차부품(12.8%), 철강(3.3%), 일반기계(1.7%)를 제외한 가전(-0.3%), 섬유(-3.3%), 석유제품(-4.8%), 석유화학(-5.3%), 디스플레이(-7.5%), 선박(-17.8%), 반도체(-23.3%), 컴퓨터(-28.2%), 무선통신기기(-29.9%) 등 9개 품목이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이중 작년 기준 우리 수출의 20% 이상을 점유했던 반도체 수출의 경우 마이너스로 전환한 작년 12월(-9.2%)과 비교해 감소폭이 더욱 커졌다.
반도체 주력인 D램 수요 감소 및 단가 하락 기조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이 반도체 수출 감소를 부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도체 수출이 부진하다보니 전체 수출도 덩달아 줄고 있는 형국이다.
지난해 반도체과 함께 수출을 이끌었던 석유화학 수출액은 국제유가에 따른 단가하락으로 작년 12월과 올해 1월에 각각 8.3%, 23.3% 줄어들며 두달 연속 마이너스를 행진했다. 석유제품은 작년에 줄곧 수출액이 늘었지만 지난달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국가별로 보면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점은 우리로서는 가장 뼈아픈 점이다. 작년 기준 한국의 대중(對中) 수출 비중은 전체 가운데 26.8%에 달한다.
작년 11월 -3.1%를 기록한 대중 수출 감소율은 12월 -14.0%, 올해 1월 -19.1%로 확대됐다. 중국 산업 경기 침체에 따른 반도체·일반기계·석유제품·무선통신기기 수출 부진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처럼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한국 경제 성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17년 3.1%에서 작년 2.7%로 떨어졌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를 2.6∼2.7%로 잡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산업이 하향 사이클로 들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산업이 괜찮으면 좋겠지만 활력을 찾기가 좀처럼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수출 부진은 기업의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고 거시경제 지표를 악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정부가 대규모 재정 투입을 공언한 만큼 일부 상쇄하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