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아세안 10곳 코트라 무역관 설문…리스크 대비 충분한 초기 자금 확보·현지 파트너사 손잡아야 안전, 10년 이상 장기 투자로 접근을
최근 국내 기업들의 인도·아세안 국가에 대한 투자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인도와 아세안은 무작정 달려가면 성공하는 ‘희망’의 땅일까. 제대로 준비한 사람에게는 예스다. 반면 사전 준비가 부족한 사람에겐 ‘절망’의 땅이 될 수도 있다.
성공을 위한 요소로는 △돌발 리스크 대비한 투자금 준비 △신뢰할 수 있는 현지 파트너사 △장기적 관점의 투자 등 세 가지가 꼽힌다. 투자 유망분야는 한류 바람을 탄 화장품과 식료품 등 소비재와 핀테크 등이 선정됐다.
이는 이투데이가 18일부터 22일까지 아세안 10개국 중 코트라 무역관이 개설되지 않은 브루나이를 제외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9곳 무역관과 인도 무역관 실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이들은 신남방 국가들이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해 외국 기업에 높은 진입장벽을 친 데다 행정절차가 복잡하고 잦은 규제 변경으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초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선 현지 기업과의 합자회사나 지분투자 방식으로 공동 진출하는 게 유리하고 정부 관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충분조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 시장에 대한 정보가 절대 부족한 데다 유통·물류 인프라가 열악해 사전 시장조사를 철저히 하고 원자재 조달 방안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자금조달 문제였다.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금융회사가 많지 않은 탓이다. 특히 현재 성장 중인 국가들이라 10년 이상 장기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어느 정도 자본력을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싱가포르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세안 국가들은 공무원의 재량권이 많아 초기 투자비용이 늘어날 수 있고 느린 행정 처리로 사업 진행에 차질이 빚어질 개연성이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저임금 노동력만 믿고 갔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캄보디아의 경우 실질 임금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데다 노동규제가 많고 근로자를 훈련시키는 데 최소 3~4년이 필요한 상황이라 생산성 저하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인도의 진출 유망분야는 가전, 휴대폰, 자동차, 화장품, 식료품 등이 꼽혔다. 베트남은 자동차·부품산업과 교통·환경 인프라 건설, 인도네시아는 화장품, 식품 등의 생활소비재가 유망하다는 게 이들의 팁이다.
태국의 경우 차세대 자동차, 스마트 전자 등 ‘태국4.0 정책’의 타깃산업 분야와 화장품, 식품, 콘텐츠 관련 품목이, 필리핀은 농업, 관광, 콜센터와 같은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분야가, 말레이시아는 석유·가스, 외식산업, 재생에너지 등이 각각 유망하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