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2년까지 4년간 총 1조9000억 원(시비 9600억 원ㆍ국비 6800억 원ㆍ민자 3000억 원)을 투입해 서울을 세계적인 창업 도시로 육성한다.
2011년 17개에 불과하던 창업지원 시설을 44개로 확대하고, 서울 전역에 인공지능(AI)ㆍ바이오 등 기술창업 기업 입주공간을 현재의 2배 수준인 2200여 곳으로 늘리는 등 신기술 창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4일 “‘한강의 기적’을 잇는 ‘창업의 기적’을 서울에서 만들어가겠다”며 ‘글로벌 TOP5 창업도시 서울 추진계획’ 7대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7대 프로젝트는 △기술인재 1만 명 육성 ‘글로벌 인재 파이프라인’ △기술창업 공간 1000개 확충 ‘테크 스페이스 1000’ △창업기업 3000개 성장 단계별 자금지원 ‘전략성장 투자’ △민간 주도-공공 지원 ‘성장촉진 플랫폼’ △아이디어의 신속한 제품화 ‘제품화 180’ △혁신기술 제품의 실증 및 판로개척 ‘테스트베드 도시 서울’ △유망 창업기업 160개 해외진출 ‘글로벌 마켓’ 등이다.
이를 통해 현재 7개인 유니콘기업(기업가치가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벤처기업)을 15개로 늘리고 총 사업체 매출액 대비 벤처기업 매출액 비중을 7%까지 높인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홍릉(바이오), 마포(핀테크·블록체인), 개포‧양재(AI·빅데이터) 등 6대 신산업거점을 중심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 특화인재 6400명(연 1600명)을 양성한다. 11월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혁신학교’를 설립하고, 소프트웨어 융합형 인재 2000명(연 500명)을 배출할 계획이다.
서울에서 기술창업을 희망하는 글로벌 핵심인재 유치와 육성에도 집중한다. 법무부와의 협조를 통해 '기술창업준비비자'를 일주일 내 발급되도록 절차를 간소화하고 벤처캐피털(VC)·액셀러레이터(AC)로부터 1억 원 이상 투자를 유치하는 경우 '기술창업비자'가 즉시 발급되도록 패스트트랙을 신설한다.
양재, 홍릉 등 신산업 거점을 중심으로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도 새로 만든다. 입주기업 수로는 현재 총 1043개에서 2200여 개로 2배, 면적은 현재 20만㎡에서 48만㎡으로 2.4배 확대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마포 서울창업허브는 입주공간을 구하기 어려운 신생기술 스타트업의 초기육성 전진기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창업 아이디어를 180일 내에 시제품 완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종합지원하는 '제품화 180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시제품제작소에서 각각 이뤄지던 제품 제작지원을 일원화한 종합창구를 운영한다.
이후 제품 양산 단계에서는 최적의 생산업체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국내·외 제조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서울시는 혁신제품과 서비스의 판로를 지원하기 위해 스스로 혁신제품의 '테스트베드'로 거듭난다. 2023년까지 혁신기업 500개를 대상으로 실증기회를 제공하고 기술 개발, 사업화, 마케팅을 지원한다.
아울러 시는 혁신기업의 해외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중국의 대공방, 스위스의 소사이어티3(Society 3) 같은 글로벌 액셀러레이터와 연계해 제품화 단계부터 해외 현지화 액셀러레이팅을 지원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코트라(KOTRA), 한국벤처투자주식회사 등 공공기관 해외사무소를 통해 글로벌 판로개척과 투자유치도 지원한다.
또 플러그앤플레이(Plug&Play), 킥스타트(KICKstart), 요즈마(Yozma), 피앤지 벤처(P&G Venture) 등 해외 유수 AC와 연계해 실리콘밸리, 이스라엘, 런던 등 해외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