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의 매각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국내 대형 사모펀드(PEF)가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한 국내 유력 PEF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검토 중이다.
이 펀드는 운용규모가 2조원이 넘는 국내 톱 5 규모의 사모펀드다.
기업행동주의를 표방한 `강성부 펀드'와는 다르다. 기업의 가치를 높여 매각해 차익을 얻는 일반적인 '바이 아웃' 를 목표로 한다.
따라서 경영권 다툼 보다는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사모펀드가 해볼 만한 딜"이라면서 "현 위기는 오너의 잘못된 경영 때문이지 사업 자체는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PEF가 아시아나항공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항공업의 특성 탓이다. 진입장벽이 높고 현금흐름이 좋아 인수 후 가치가 상승할 여지가 크다. 수익성이 좋은 '캐시카우'라는 평가다.
게다가 진입에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규제에 민감한 대기업보다 PEF가 유리한 고지에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기업 간 항공사업을 양수ㆍ도하게 된다면 국토부 허가를 받아야 하며 전문성을 엄격하게 심사한다"고 밝혔다. 반면 지분 취득은 신고사항으로 허가 과정이 필요 없다.
그는 "국내 대기업이라면 자본금 요건 충족에는 문제가 없으나 이사 등의 범죄 경력, 외국인 표함 여부 등은 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정부가 특정 기업에 항공 사업 허가를 내줄 경우 특혜 논란이 생길 수 있어 대기업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다. PEF 관계자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을 감당할 자금력이 인수전에 뛰어들기 위한 선행조건이 될 전망이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산업은행 채권단 등의 부채 탕감이 필요하다"면서 "이후 PEF가 인수해 계열사를 잘라내고 구조조정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은 부채에서 채권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금융기관이 탕감해줘도 부채가 상당하다. 시장에 풀린 ABS 등도 걸림돌이다.
위기를 초래한 박삼구 회장이 아시아나항공을 넘기느냐도 관건이다. 박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경영에서 물러났으나 계열사 지분은 그대로 쥐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는 33.49%를 보유한 금호산업이다. 박 회장 등이 67.6%를 보유한 금호고속이 금호산업 지분 45.17%를 보유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M&A를 진행하려면 채권단과 박 회장, PEF의 협의가 필요한데 박 회장이 지분을 가진 상태에서는 PEF가 들어가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