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3대 주력산업으로 키운다…R&D 지원 연 4조로 확대

입력 2019-05-22 12:03수정 2019-05-22 18: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발표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분야에서 대규모 규제 개선과 투자 확대를 추진한다.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을 시스템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차세대 3대 주력 산업으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을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기술 연구·개발(R&D)부터 인허가, 생산, 출시에 이르는 전(全) 주기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내놓으면서 지난해 144억 달러였던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액을 2030년까지 500억 달러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대책이 순조롭게 이행되면 관련 일자리 역시 87만 개에서 117만 개로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기대다.

정부는 우선 기술 개발 단계에선 R&D 투자 확대와 의료 데이터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재 연간 2조6000억 원가량인 바이오헬스 R&D 지원을 2025년까지 4조 원 이상으로 늘린다. 특히 재생 의약품 연구와 후보물질 발굴,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등 유망 분야에 지원을 집중한다.

R&D를 뒷받침할 금융·세제 지원도 보강된다. 정부는 '스케일업 펀드'를 통해 연(年) 매출 1조 원이 넘는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에 2조 원 이상의 정책 금융을 투입기로 했다. 신성장동력·원천기술 R&D 세액 공제 항목에도 바이오베터(기존 바이오 약품의 성능을 개선한 제품) 임상실험비가 추가된다.

정부는 바이오 데이터 확보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맞춤형 의료 산업의 핵심이 데이터 확보라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의료용 데이터 확보를 위한 인프라로 국가 바이오 빅테이터 등 5대 빅데이터 플랫폼(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데이터 중심병원,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바이오특허 빅데이터, 공공기관 빅데이터)을 구축기로 했다. 특히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에는 2030년까지 100만 명의 유전체 데이터와 의료 이용·건강 상태 정보 등이 담기게 된다.

인허가 단계에선 규제 합리화가 추진된다. 정부는 특히 심사 전담 인력을 확충하고 이들의 전문성도 높여 의약품과 의료기기 인허가에 드는 기간을 줄일 계획이다. 또 국제기준이나 현실에 맞지 않는 규제를 혁파하기 위한 '규제개선 로드맵'도 올 하반기 중으로 내놓는다.

정부는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선 AI 대학원 확대와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를 설립기로 했다. 또 바이오헬스 전후방산업 동반 성장을 위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장비의 국산화도 서두르기로 했다.

시장 출시 단계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기술 사용을 촉진하는 데 주력한다. 특히 혁신 의료기기에 대해선 인증제를 통해 허가 심사 특례를 주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병원 시스템을 중심으로 바이오헬스 패키지 수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화 시대에 팽창하는 의료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IT 기반, 병원 시스템, 의료 데이터, 우수 인재를 갖고 있어, 우리가 보여준 잠재력을 최고도로 발휘하여 글로벌 강국으로 충분히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