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가 정부 대책에 발맞춰 안전 관리를 대폭 강화한다.
11일 정부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5개월여간 조사한 결과를 공개하고 화재 재발 방지와 ESS 산업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민관조사위는 이날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용관리 부실 △설치 부주의 △통합관리체계 부족 등 4가지를 직·간접 화재 원인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정부는 ESS용 대용량 배터리 및 전력변환장치(PCS)를 안전관리 의무대상으로 지정하는 등 안전 기준 및 관리 제도를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LG화학, 삼성SDI 등을 비롯한 국내 ESS 업체들은 화재의 원인이 셀이 아니라는 점을 다행스럽게 생각하는 한편, 어떠한 운영 환경에서도 사고가 나지 않도록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LG화학 관계자는 "배터리가 안전관리 의무 대상으로 지정되는 만큼 사고 예방 측면에서 모든 안전 사항을 철저하게 준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의 대책안이 업계에 불러올 영향에 대해서는 입장이 나뉜다.
일각에서는 ESS 산업의 신뢰성을 높일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수익성 감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대책안 발표가 ESS 산업 전반의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모호한 시장 상황이 정리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ESS 산업에 종사하는 또 다른 관계자 역시 “ESS는 초기 산업임에도 KC 인증 강화, KS표준 제정, ESS 협회,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적용 연장 등 구체적으로 대안을 내온 것을 보니 상당히 이 산업에 관심을 많이 두고 공부를 했다는 것이 느껴진다”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ESS 산업의 안전성과 경쟁력이 한 층 강화, 국내 산업이 좀 더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표준이나 설치기준 강화 등이 전반적인 비용 증가로 연결돼 업체의 수익성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번 조사 과정에서 나온 ‘LG화학 일부 배터리셀 제조 결함’에 대해 LG화학 측은 “2017년 초기 제품으로 안전에 영향을 줄 이슈는 아니었으나 일부 결함이 발생한 적 있다”며 “이는 공정 및 설계 개선, 검사 공정 등을 강화해 모두 개선 조치하였으며 현재는 문제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선 사항에 대해서는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에도 공유했으며, 선행적인 안전관리 차원에서 모든 사이트 점검을 통해 잠재불량 군에 대해서도 선별교체를 완료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