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진 행장 임기 반년 남았지만...고위 관료 출신 내정說 무성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임기만료인 민·관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는 6명이다. 이 중 기업은행이 관피아의 첫 먹잇감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7~8월께 추가 개각이 예상되는 가운데 총선 진열 정비가 이뤄지면 보은 성격의 낙하산 인사가 줄을 설 것으로 예상된다. 김도진 행장의 임기 만료까지는 6개월이나 남았지만 벌써 내부 싸움과 외부에서 눈독들이는 인사들의 물밑 작업을 시작했다.
김도진 기업은행장을 둘러싸고는 TK출신이자 전 정권에서 임명된 점 등을 들어 연임이 힘들다는 평이 많았다. 김도진 행장도 최근 언론에 연임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이번 행장 인선을 두고 더 이상 외풍에 흔들리지 않고 내부 출신 행장이 나오기를 바라는 분위기다. 2010년 말 조준희 전 행장이 내부 출신 행장 역사를 시작해 2013년 말 권선주 행장, 2016년 김도진 행장까지 9년간 내부에서 행장을 배출했다.
하지만 내부 바람과는 달리 정부가 50%의 지분을 보유한 국책은행의 운명은 가혹했다. 권 전 행장의 임기 만료 전에도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유력한 행장 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최근 퇴직한 금융위 고위관료가 내정됐다는 설이 돌았지만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 인사의 청와대 인사 검증은 이미 마친 상태”라며 “금융기관 얘기는 잠잠해진 반면 최근 청와대 경제수석 자리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외부 출신 행장의 진입을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이고 있다. 금융권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집권 초기에는 청와대가 금융권 인사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시늉이라도 했지만 최근에는 대놓고 내려보내고 있다”며 “8월쯤 인사 검증에 들어가면 윤곽이 나오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미 김주현 신임 여신금융협회장을 비롯해 6개 금융협회장 중 절반이 관료 출신으로 채워졌다.
기업은행장 자리는 금융위원회가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만약 낙하산 인사가 내려온다면 노조 반발 등 후폭풍은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관가에서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일었던 ‘관피아’(관료+마피아) 적폐론은 이미 흐지부지된 지 오래”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하반기 금융기관 수장 자리를 둘러싼 각축전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등 금융공기업은 물론 국민은행과 농협은행 수장의 임기도 올해 12월 만료다. 신한금융지주, BNK금융지주 회장의 경우 내년 3월까지다.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내년 3월 손태승 회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지배구조에 관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