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정책 절실한 3가지 이유

입력 2019-09-22 12:00수정 2019-09-22 14: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亞 5개국 FDI 700억달러 육박..해외생산기지 구축+내수시장 확보+대중국 수출의존도 축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으로 대표되는 아세안 5개국 성장이 눈에 띠는 가운데 이들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진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아세안 5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유입 배경과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아세안 5개국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5.3%를 기록했다. 이는 4%대를 기록 중인 터키, 헝가리, 크로아티아 등 유럽 12개 신흥국과 2%대를 보이는 중남미 등 여타 경제권 성장률을 압도하는 것이다.

이같은 성장세엔 FDI 역할이 컸다는게 한은측 판단이다. 실제 금융위기 후 보호무역주의 강화, 글로벌 분업체계 약화 등으로 세계 FDI 총 유입액은 증감을 반복한 반면, 아세안 5개국은 증가세를 지속했다. 실제 2010년 470억달러에 그쳤던 FDI 유입액은 2018년 686억달러를 기록해 700억달러에 육박했다. 이는 같은기간 세계대비 비중으로는 3.4%에서 5.3%로, 신흥국 대비 비중으로는 6.8%에서 9.3%로 급증한 것이다.

이들 국가들에 대한 주요 투자국은 동아시아국가들로 경제발전과 함께 아시아 주요국들과의 무역연계성이 확대되면서 FDI 투자가 증가하는 선순환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투자국으로는 싱가포르(기간중 전체 유입액 대비 비중 26.3%)가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일본(22.5%), 홍콩(10.7%), 중국(7.3%), 한국(7.1%)이 그 뒤를 이었다.

다만 특징은 아세안 5개국간에도 산업별 FDI 유입 비중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저임금 노동력과 천연자원 등 부존자원과 경제여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저임금 노동력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필리핀은 제조업 부문에, 소득수준이 높은 말레이시아와 태국은 서비스업에 대한 FDI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팜유, 석유 및 천연가스, 광물 등 천연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농림어업 및 광업에 대한 FDI 유입 비중이 높았다.

보고서는 저임금 노동력이 풍부한 아세안 5개국은 생산비용이 상승하고 있는 중국을 대체하는 글로벌 생산거점으로 부상하면서 다국적기업의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대일로, 아시아 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 등 아시아 지역 주도권 확보를 위한 중국의 역내 국가 경제협력 강화도 중국기업들의 투자를 촉진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꼽았다. 아울러 이들 국가의 견실한 성장세와 인구 증가 등으로 내수시장 규모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인프라와 제도적 여건 등 기업 경영환경이 미흡하다는 점, 일부 국가에서는 임금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 등은 투자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이병록 한은 아태경제팀 과장은 “아세안 5개국의 역할이 강화되고 확대되는 만큼 우리나라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겠다”며 “해외 생산기지 구축과 내수시장 확보, 대중국 수출 의존도 축소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