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조치 완료되는 10월 이후 기본적 화재 유형 막을 수 있어"
삼성SDI가 국내 ESS(에너지저장장치) 생태계 확산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각종 외부 충격으로 인해 ESS가 발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배터리에 안전장치를 도입하는 것이 골자다. 혹여나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조기에 차단하는 시스템도 개발했다.
삼성SDI는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 빌딩에서 ESS 시스템 화재를 근절하기 위한 대응책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6월 2017년부터 발생한 ESS 화재의 원인을 발표하면서 재발을 막겠다고 당부했음에도, 이후 3개월간 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당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원인에는 배터리 결함이 포함돼 있지 않았다.
그럼에도 삼성SDI는 피해를 막기 위해 작년부터 시행 중인 안전성 종합 강화 대책을 이달에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삼성SDI 관계자는 “ESS 화재 원인은 자사 배터리와는 관련 없는 것”이라며 “다만 ESS 화재로 인해 국민과 고객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로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안전성 종합 강화 대책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3단계 안전장치 설치 △배터리 운송이나 취급 과정에서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부착 △ESS 설치 및 시공 상태 감리 강화와 시공업체에 대한 정기교육 실시 등이다.
배터리 상태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 운전 정지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조치도 포함돼 있다. 이미 설치 및 운영 중인 국내 전 시설의 안전성 종합 대책 관련 비용은 삼성SDI가 부담한다.
임영호 삼성SDI 중대형 전지사업부장(부사장)은 “이번 조치는 국내 ESS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조치”라며 “당사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1년 동안 최선을 다했다. 조치가 완료되는 10월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겪었던 화재 유형은 막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예기치 않은 요인에 의해 ESS 시스템에 발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수 소화시스템도 개발했다.
특수 소화시스템은 첨단 약품과 신개념 열확산차단재로 구성됐다. 두 소재는 특성 셀이 발화하더라도 바로 소화시키고 인근 셀로 확산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준다. 특수 소화시스템의 안전성은 미국 국제 인증기관인 UL의 테스트 기준도 만족했다.
특수 소화시스템은 신규로 판매되는 시스템에 전면 도입된다. 전영현 삼성SDI 사장은 “ESS 화재 원인과 관계없이 선제적 조처를 하는 것이 글로벌 리딩 업체로서의 책무”라며 “이번 조치를 계기로 위기에 직면한 국내 ESS 산업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일어난 강원 평창 시설 화재에 대해 임 부사장은 “조사가 이제 막 시작돼 원인에 대해 확실히 말하기 어렵다”며 “다만 해당 시설은 삼성SDI의 대책이 적용되기 직전에 화재가 발생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