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파생결합상품) 사태 여파로 발행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투자심리 위축으로 연말까지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6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DLS 발행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독일 국채 10년물 DLS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인 7월 총 발행금액은 1조9968억 원을 기록했지만 이후 꾸준히 감소해 지단달 9999억 원으로 49.92% 줄었다. 발행 종목수는 398건에서 240건으로 39.69% 감소했다.
DLS는 금리, 신용, 원자재, 환율 등을 활용한 파생결합상품이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금리가 하락하면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이 큰 손실을 보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와 연계된 DLS 상품의 경우 95%에 달하는 손실을 본 것으로 전해졌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발행한 DLS 사태가 투자심리를 약화시키는 트리거로 작동했다”며 “글로벌 금리가 하락하면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수급 악화가 우려되면서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사들의 상품 발행도 크게 감소했다. 7월 DLS 상품 70개(4030억 원 규모)를 발행한 하나금융투자는 지난달 36개(1880억 원)로 절반 가까이 줄였다. 같은 기간 삼성증권도 71건(3050억 원)에서 42건(1353억 원)으로, 신한금융투자도 45건(2595억 원)에서 30건(1032억 원)으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중호 KB증권 연구원은 “DLS 시장의 경우 금리, 신용, 원자재, 복합으로 구분되는데 각각 10~15%가량 발행이 축소될 전망”이라며 “결과적으로 올해 하반기 36.24% 정도 감소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최근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원자재와 해외지수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DLS 투자가 증가할 수 있다”며 “DLS 중 ‘신용’을 기초자산으로 한 DLS의 경우 아직까지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경향이 없어 2020년 하반기 이후에서 완전히 회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