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에 IT기술 접목해 신약개발 시간ㆍ비용 단축…임상시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집중해 글로벌 제약사와 차별화"
“유전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기업의 코스닥 상장과정은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것이나 다름없죠. 이번 기회를 통해 후속 관련 기업들이 코스닥 시장에 지속적으로 진입하게 된다면 제약바이오 산업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업계의 ‘4차 산업 관련 혁신기업’ 상장 1호로 떠오른 신테카바이오의 김태순 경영총괄 사장은 ‘퍼스트무버(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선도자)’로서 상장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소회를 이같이 밝혔다.
김 사장은 13일 이투데이와 만나 “제약업계에선 선례가 없던 인공지능을 접목한 신약개발 기업의 상장이다 보니 기술 검증 및 비지니스 모델 등에 대해 한국거래소의 인정을 받아내기까지 타 기업들보다 어려움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신테카바이오는 2009년 설립된 기술벤처 회사다. 이 회사는 CJ헬스케어, JW중외제약 등과의 협업과 함께 유전체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 및 유전체 정밀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간 400억 원의 벤처캐피털(VC) 투자를 유치해 기술력을 인정받았으며, 국내 170여 개 AI신약개발 기업 중 처음으로 성장성 특례로 코스닥 상장심사를 통과하고 연내 코스닥 입성을 위해 상장공모 등을 준비 중이다.
업계에선 신테카바이오의 코스닥 상장 승인이 연평균 40%까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AI신약개발의 세계적 흐름에 적절했다는 평가다.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대안인 AI를 이용한 신약개발은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의 필수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 세계 제약산업에 이 같은 IT기술이 접목되면서 패권다툼은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신약개발에 데이터분석과 예측이 중요해지면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IT회사들이 제약바이오를 전략 사업으로 표방하며 대규모 투자와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서다.
김 사장은 미국·유럽 등이 세계 제약바이오 산업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IT기술은 기존 판을 뒤집을 수 있는 절호의 찬스라고 강조한다.
그는 “신약개발을 위해 천문학적인 비용과 10년 이상 소요되는 시간 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효율적인 AI에 전 세계 이목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가·기업 모두 발 빠른 대응만이 선진국보다 뒤처진 K바이오의 위상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정부에서도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의 시급함을 인지하고 이를 위해 향후 3년간 258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는 “국가 지원금도 중요하지만 미국 FDA(식품의약국), EMA(유럽식품의약국)를 제치고 퍼스트무버가 될 수 없다면 K바이오가 바이오시밀러처럼 후발주자로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을 국가가 기업들에 제시해줘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사 출신이자 다국적 제약기업인 MSD에서 신약개발 임상연구 이사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김 사장은 자사의 AI신약개발의 비지니스 전략도 내놨다. 다수의 AI신약개발 기업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신약개발 초기단계(디스커버리)보다 임상시험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디벨롭먼트)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이는 유전자정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개인유전체지도(PMAP)를 이용해 임상시험에 최적화된 유전자 패턴을 지닌 환자군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맞춤형 치료의 속도를 앞당길 수 있다.
이 같은 전략으로 무장한 신테카바이오는 앞으로 업계 첫 상장기업으로 내실을 다지는 데 노력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IT전문가들이 모여 있는 소프트웨어 회사로서 10여 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발판 삼아 국내 바이오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할 것”이라며 “상장공모 금액으로 고급인력 및 IT시설 장비를 확충해 기술 진보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