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투자업계와 대명소노그룹에 따르면 그룹의 지주사 격인 대명소노(옛 대명홀딩스)는 현재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이달 초 국내 주요 증권사들에 IPO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하는 등 절차에 돌입했다.
1979년 설립된 대명건설이 모태인 대명소노그룹은 1987년 대명레저산업으로 탈바꿈한 뒤 사업을 확장해 왔다. 2005년 휴양콘도미니엄 사업을 물적분할하면서 지금의 소노호텔&리조트가 신설됐고, 대명소노는 지주사가 됐다.
대명소노그룹의 이번 지주사 상장은 표면적으로는 외연 확장을 위한 자금조달로 풀이된다. 대명소노그룹은 지난 9월 창사 40년 만에 그룹 사명과 CI를 교체하면서 ‘글로벌 체인 500개’라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여기에 최근 정체된 실적 개선을 위한 계기도 필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명소노의 지난해 매출액 6198억 원, 영업이익은 159억 원이다. 매출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은 2016년 0.52%, 2017년 2.59%, 2018년 0.84%로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상장을 통해 2세 승계 작업을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대명소노는 지난해 말 기준 소노호텔&리조트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대명소노는 박춘희 회장과 아들 서준혁 부회장 등이 78.09% 보유하고 있다. 기업공개를 통해 박 회장이 보유지분을 구주매출을 통해 처분하게 되면 아들인 서준혁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오를 수 있게 된다.
박 회장은 1954년생으로 나이가 적지 않은 만큼 2세 승계 작업도 속도를 낼 수 밖에 없다. 상장이 승계 작업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지만 주식의 가치를 시가로 평가하는 만큼 상속과 관련된 세금 이슈들은 간소화 할 수 있다.
입찰 제안을 받은 증권사들은 승계작업 까지 고려해 회사 재무구조는 물론이고 향후 지배구조까지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본격 상장은 빨라야 내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장 작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더라도 제값을 받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지난 2016년 코스피에 상장한 용평리조트의 26일 기준 종가는 6670원으로 공모가(7000원)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내부거래가 많다는 점도 향후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그룹 내 유일한 상장사인 대명코퍼레이션이 전체 매출의 60%가 넘는 금액을 내부거래로 채우고 있다. 대명코퍼레이션의 내부거래 비율은 △2014년 52.84%(1790억 원 중 946억 원) △2015년 58.78%(1975억 원 중 1161억 원) △2016년 62.10%(2095억 원 중 1301억 원) △2017년 62.71%(2355억 원 중 1477억 원)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2017년의 내부거래 내역을 살펴보면 대명레저산업이 82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대명건설이 579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 두 회사는 대명코퍼레이션의 내부거래 중 94.85%의 비중을 차지했다.
대명코퍼레이션은 대명소노그룹의 MRO(소모성자재구매대행)를 담당하는 회사로 2017년부터 부실콘도를 인수해 리모델링한 뒤 다시 분양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MRO 사업은 특성상 내부거래가 상당 비중을 차지한다. 이런 이유로 공정위는 MRO가 대기업 사업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이어오고 있다. 상장이 본격화 될 경우 이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하지만 대명소노 측은 상장 추진은 승계작업과는 무관한 일이라며 선을 그었다.
대명소노그룹 관계자는 “아직은 상장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단계에 불과하고 이번 기회에 그룹의 전반적인 경영 컨설팅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라며 "이미 그룹은 서 부회장 체제로 돌아가고 있는 만큼 일각에서 제기되는 2세 승계 작업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