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K-Farm'…2025년 한국형 스마트팜 3억 달러 수출 목표

입력 2019-12-23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 2개국에 수출 거점 설치…혁신밸리 중심 수출 체계 마련

▲올해 3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에 수출한 '스마트팜 패키지'. (뉴시스)
'K-푸드'에 이어 'K-팜' 분위기 확산이 추진된다. 정부는 스마트팜을 수출해 2025년까지 3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해외 현지 거점을 마련하고, 현재 조성 중인 혁신밸리를 적극 활용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스마트팜은 정부의 8대 혁신성장 선도과제의 하나이기도 하다.

기존 농업에 인공지능(AI)‧정보통신(IT)‧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팜 규모는 2017년 4010ha 올해 5017ha까지 증가했다. 세계 시장 규모는 매년 12.4%의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해 75억3000만 달러에서 내년 120억 달러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윤동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스마트팜은 온실 설비·기자재·데이터·인력 등이 포함된 플랜트형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출 시 높은 부가가치 달성할 수 있다"며 "기자재의 공급과 설비의 유지·보수를 통해 지속해서 수입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먼저 한국형 스마트팜의 수출 지원을 위해 해외 유망 국가 2곳에 데모온실을 조성한다. 이곳을 수출 거점으로 활용하는 한편 인력 파견·현지 교육·시장조사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2021년까지 총 71억 원이 투입된다.

윤 국장은 "스마트팜 시공‧시설자재‧기자재 등 다양한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에 데모온실을 조성하고, 전략 품목의 시범 재배나 스마트팜의 성능 등을 검증하게 된다"며 "기업 단위에서 데모 온실 조성이 어려워 애로를 겪던 스마트팜 수출 업체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부지확보와 데모온실 운영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담당하고, 교육·데이터 관리는 농림식품교육문화정보원, 그리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시장조사와 사절단, 수출상담회를 관리한다.

영세 스마트팜 업체에 대해서는 수출입은행과 협업을 통해 전대금융 제도(수출계약 조건으로 현지 은행대출)와 패키지 수출 활성화 사업을 연계하고, 신용한도 설정 국가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수출금융 수수료에 최우대금리를 지원하고, 대출금리 우대, 해외투자자금대출금액 한도 확대 등도 지원한다.

현재 경북 상주에서 조성 중인 스마트팜 혁신밸리도 더욱 확산한다.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총 3867억 원을 투입하는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은 올해 10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윤 국장은 "지속해서 기술 개발을 추진해 수출을 도모하고, 국가표준의 확산을 위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국제 표준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동 등 주요 수출 대상 국가에 따른 전략을 마련하고, 아프리카 등 신규 진출 가능 국가에 대한 조사도 추진한다.

윤 국장은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을 통해 스마트팜 기자재 산업과 종자·비료·농약 등 연관 산업, 관련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며 "내년 스마트팜 수출 패키지 지원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지속해서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해 스마트팜 수출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