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정부기여도 각각 10년만 최저·최고..글로벌 경기·반도체부진에 투자조정 지속 탓
지난해 경제성장률(실질 GDP 기준)은 2%를 턱걸이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와 반도체 경기가 동반 부진한 가운데 투자조정이 계속되면서 민간부문이 부진한 탓이다. 그나마 정부가 성장률을 떠받쳤다.
국민들의 호주머니 사정을 뜻하는 국내총소득(GDI)은 GDP 성장보다 부진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뒷걸음쳤다.
지출항목별로는 정부소비 증가세가 전년 5.6%에서 6.5%로 확대된 반면, 민간소비(2018년 2.8%→2019년 1.9%)와 수출증가세(3.5%→1.5%)가 둔화됐다. 건설(-4.3%→-3.3%)과 설비(-2.4%→-8.1%)투자도 각각 2년연속 감소세를 기록하는 등 부진했다.
성장기여도를 주체별로 보면 정부는 1.5%포인트를 기록해 2009년 2.3%포인트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민간은 0.5%포인트에 그쳐 역시 2009년 마이너스(-)1.5%포인트 이후 가장 낮았다. 항목별로 보면 내수는 1.2%포인트, 순수출은 0.9%포인트로 각각 2012년(0.6%포인트)과 2018년(-2.0%포인트)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질 GDI는 0.4% 감소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에 따른 수출물가 하락이 유가하락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보다 커 교역조건이 악화한 때문이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4분기 성장세가 민간 부문에서는 3분기 수준을 유지해 준 가운데 정부 기여도가 늘면서 연간 기준 2% 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글로벌 경기가 안좋은 가운데 반도체도 경기사이클상 좋지 않았다. 투자조정도 계속되면서 정부가 경기안정화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GDI는 반도체값 하락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에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GDP 성장보다 부진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