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통계청 품목 성질별 소비자물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집세 지수는 104.04(2015년=100)로 전년보다 0.1% 하락했다. 전국 집세 지수가 하락 전환한 것은 2005년(-0.2%)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부문별로 보면 월세는 2018년과 2019년 연속으로 0.3%, 0.4% 하락했다. 작년 월세 지수는 99.81로 2014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전세는 0.2% 올랐지만 상승폭은 2005년(0.1%) 이후 가장 작았다.
지역별로는 작년 서울의 집세는 0.3% 올랐다. 그러나 그 폭은 2006년(0.3%) 이후 가장 작았다. 서울 전셋값 역시 2006년(0.6%)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인 0.8% 상승했고, 월세는 0.3% 떨어졌다. 월세가 2년 연속 하락한 것은 2005~2006년 이후 처음이다.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의 집세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울산은 전세와 월세가 각각 2.3%, 2.1% 떨어지면서 전체 집세가 2.2% 하락했다. 낙폭은 2000년(2.9%) 이후 19년 만에 최대다.
울산은 조선업 경기 위축 등으로 유입인구가 꾸준히 줄면서 전ㆍ월세 수요가 감소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부산의 집세는 0.5% 하락했고, 대전(-0.2%)ㆍ대구(-0.1%)도 떨어졌다.
경기도의 경우 전월세가 0.1%씩 빠지면서 집세도 0.1% 하락했다. 경기도 집세가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2005년(-0.6%) 이후 처음이다.
전셋값 하락은 울산처럼 유입인구 감소에 따른 영향도 있지만 최근 2~3년간 발생한 서울 등 수도권 주택시장 과열과 맞물린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 집값 상승 기대 속에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전환됐고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하락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KB부동산의 주택가격 동향을 보면 과거 서울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하거나 0%대 소폭 상승에 그쳤던 2010~2013년에는 전셋값이 평균 7%가량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