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원금 손실 조건을 충족한 파생결합증권(DLS) 규모가 1500억 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가가 추가 하락할 경우 대규모 투자자 피해 우려가 제기된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은 원유 DLS 총 129개에서 유가 하락으로 원금 손실 조건이 발생했다고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투자자에게 공지했다.
이들 129개 DLS의 미상환 잔액은 총 1533억 원에 이른다.
증권사별로는 NH투자증권 38개 818억 원, 미래에셋대우 20개 344억 원, 한국투자증권 54개 279억 원, 삼성증권 17개 92억 원이다.
이들 DLS는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또는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가격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됐다.
대부분 유가가 발행 당시 기준가격의 약 5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원금 손실이 없도록 설계돼 있다.
그러나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이 감산 합의에 실패하고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수출가격 대폭 인하 및 증산을 발표한 결과 유가가 20% 이상 급락하면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생겼다.
이 중 잔액 규모가 50억 원으로 단일 DLS로는 가장 큰 NH투자증권 ‘DLS 3232회’의 경우 지난 9일 현재 WTI가 배럴당 31.13달러, 브렌트유가 34.36달러로 기준가의 48% 선인 WTI 32.58달러, 브렌트유 36.69달러 밑으로 떨어져 원금 손실 구간에 들어섰다.
NH투자증권 DLS 3232회의 경우 남은 상환 평가일인 오는 5월 하순에 유가가 기준가의 85%(WTI 57.69달러, 브렌트유 64.97달러) 또는 오는 11월 하순이나 내년 5월 하순에 기준가의 80%(WTI 54.30달러, 브렌트유 61.15달러) 이상으로 회복하면 약정된 수익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이들 DLS는 아직 손실이 확정된 상태는 아니며 만기까지 유가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복하면 원금 손실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우디 국영 석유사 아람코는 10일(현지시간) 내달부터 산유량을 지난 2월보다 27% 많은 하루 1230만 배럴로 늘리겠다며 사실상 경쟁 산유국인 러시아ㆍ미국과 ‘유가 전쟁’을 선언했다.
이에 러시아도 알렉산드르 노박 에너지장관이 “러시아는 하루 50만 배럴을 추가로 생산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사우디에 맞서고 있어 유가 하락 압력이 한층 강해지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유가가 추가로 하락해 원금 손실 구간에 들어선다면 피해 규모도 더 커질 가능성이 있어 투자자 주의가 필요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