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월 취업자 늘었지만 앞으로 ‘고용절벽’ 불가피

입력 2020-03-11 18: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가 작년 같은 달에 비해 49만2000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40만 명대 이상의 증가세다. 15∼64세 인구의 고용률도 66.3%로 1989년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겉으로는 고용이 많이 좋아진 수치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앞으로 고용사정이 급속도로 악화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2월 조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의 초기(2월 9∼15일)에 이뤄져 고용시장에 대한 부정적 파장이 일부만 반영됐다. 그런데도 2월 일시휴직자가 61만8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4만2000명(29.8%) 늘어 2010년 이후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사업체의 휴업과 근로자 휴직 등이 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시휴직자들도 통계에는 취업자로 잡힌다. 하지만 사태가 길어지면 실직으로 이어져 취업자의 대폭 감소가 불가피하다.

소비가 급격히 얼어붙어 2월 도소매업 취업자가 10만6000명이나 줄고, 음식·숙박업은 1만4000명 늘어나는 데 그쳐 1월 8만6000명 증가에서 크게 쪼그라들었다. 반면 택배 수요가 급증, 운수·창고업이 9만9000명 늘었다. 재정 일자리사업 기여도가 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20만2000명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고용구조도 질적 개선과 거리가 멀다. 60세 이상이 전체 취업자수 증가보다 훨씬 많은 57만 명 늘었고, 경제활동의 중추인 40대는 10만4000명 줄어 52개월 연속 감소했다. 주당 36시간 미만의 불안정한 단기 근로 취업자가 56만2000명 늘어난 반면, 36시간 이상은 21만2000명 줄었다.

문제는 코로나 사태의 경제 전반과 고용시장에 대한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앞으로의 상황이다. 당장 3월부터 고용지표 추락이 예상된다. 국내 전파 확산으로 이미 경제가 크게 타격받고 있는 마당에,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번지는 국면은 치명적이다. 글로벌 수요 감퇴와 공급망 붕괴로 인한 세계경기 침체가 깊어지면서 수출과 내수 모두 최악의 위기에 빠져들 것이란 우려가 높다.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았던 작년의 2.0%보다 훨씬 낮아질 것이란 전망이 잇따른다.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는 1.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1%까지 예상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코로나19가 한국 경제 성장률을 최대 1%포인트 떨어뜨리고, 취업자수를 30만 명 가까이 감소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이 뒷받침되지 않고 일자리를 늘려갈 수 없는 건 상식이다. 정부는 그동안 재정을 쏟아부어 고용을 떠받치는 데 안간힘을 써왔지만 그것도 곧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모든 상황이 비관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