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라 편집부 교열팀 차장
“우리나라에는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많아요.” “저희 나라 사람들은 매우 부지런해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온 방송인들이 우리나라에 대해 소개하며 흔히 하는 이야기들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를 ‘저희 나라’라고 말하는 것은 틀린 표현이다.
‘우리’ 또는 ‘저희’는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이다. 우리가 알고 있듯 이 둘의 관계는 ‘우리’의 낮춤말이 ‘저희’라는 것. ‘저희’는 자기를 낮춤으로써 상대편을 높이는 겸양어(謙讓語)이다. 즉, 말하는 이(화자)가 듣는 이(청자)를 높이고자 자신 또는 자신을 포함한 사람들을 낮출 때 ‘우리’ 대신 ‘저희’를 쓴다. “저희에게 기회를 주세요”와 같이 쓸 수 있다.
대명사 ‘우리’는 “우리 모두 잘될 거예요”와 같이 화자가 자기와 청자, 또는 자기와 청자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또 화자가 자신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포함한 여러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네가 승리했다는 것을 우리 모두 인정할게”처럼 쓸 수 있다. 이처럼 ‘우리’는 화자를 포함하여 둘 이상일 때 쓴다. 하지만 복수가 아니어도 ‘우리 엄마’ ‘우리 남편’처럼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에도 쓸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맞고 ‘저희 나라’는 틀린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는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이다. 화자가 한국인이고 청자도 한국인인 경우에는 같은 구성원이므로 ‘우리’의 정의에 해당한다. 같은 구성원끼리는 높임의 대상이 없기 때문에 ‘저희 나라’라고 쓸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라고 하는 것이 맞다.
그런데 화자가 한국인이고 청자가 외국인일 경우에는 어떨까. 외국인은 한민족이 아니므로 ‘우리’라는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국인에게 이야기할 때 ‘저희 나라’로 표현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문법적으로 따지면 틀리지 않으나, 나라는 서로 대등한 관계이므로 자기 나라를 낮춰 말할 필요가 없다. 국립국어원은 ‘나라’나 ‘민족’과 같은 집단은 비록 청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한 구성원이 낮춰 말하기에는 너무 클 뿐만 아니라 다른 집단과 다른 절대성이 느껴지기 때문에 ‘저희 나라’라고 쓰지 않고 ‘우리나라’로 써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한글맞춤법 규정에도 ‘우리나라’의 의미로 ‘저희 나라’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우리나라’만 표준어로 삼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청자가 외국인이건,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건 간에 어떤 경우에도 ‘저희 나라’로 쓰지 않고 ‘우리나라’라고 표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