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신남방권 주요국 수입구조 분석' 보고서…패션의류 등 고급 소비재 시장 진출 강화해야
신 남방 주요국의 소비재 수입이 급증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고급 소비재 시장 진출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6일 발표한 ‘신남방권 주요국 수입구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신 남방 권에 속하는 11개국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2018년 5.2%로 세계 경제 성장률(3.0%)보다 높았다.
특히, 2010년부터 2018년까지 베트남, 인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신 남방 주요 5개국의 중간재 수입이 매년 5.8%씩 성장하는 동안 소비재 수입은 매년 8%씩 급격히 성장했다.
이는 고급 소비재 수요가 급증한 영향으로 2010년~2018년간 인도의 고급 소비재 수입은 18억 달러에서 56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성장했고,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도 두 배 이상 커졌다. 싱가포르는 2018년 소비재 수입 중 고급 소비재 비중이 47%를 넘겼고 수입액도 170억 달러에 달해 신 남방 5개국 중 가장 큰 고급 소비재 시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신남방권 국가들의 한국산 고급 소비재 수입도 증가했다. 싱가포르는 2010~2018년 한국산 고급 소비재 수입이 24.5% 늘었고,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은 각각 18.3%, 11% 늘었다. 각국 고급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도 인도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상승했다.
신 남방 국가의 고급 소비재 수요가 패션의류, 시계ㆍ쥬얼리, 뷰티제품, 패션잡화, 실내장식 등 다양한 품목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한 데 비해, 한국산 수입은 뷰티제품에 집중됐다. 인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한 한국 고급 소비재가 뷰티제품이었고 베트남에서도 패션의류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조의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원은 “베트남의 실내장식, 인도의 시계 및 쥬얼리, 말레이시아의 패션의류 등은 수입 성장세가 빠른 유망 시장임에도 한국 기업의 수출이 더디다”며 “뷰티제품 외 패션의류, 실내장식, 쥬얼리 등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고 국가별 유망 품목을 중심으로 신남방권 소비재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