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설치 가구 4년 새 1.7배↑…태양광 29만3000가구로 87% 차지

입력 2020-05-05 10: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에너지경제연구원, '주택 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 동향과 설비 설치 가구의 특성' 보고서

▲주택형 미니 태양광발전소 설비 (사진제공=서울시)

신재생에너지 설치 가구가 4년 새 1.7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 10곳 중 9곳은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태양열, 소형풍력 등 비(非) 태양광 설비에 비해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5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주택 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 동향과 설비 설치 가구의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한 가구는 2013년 19만4000가구에서 2017년 33만8000가구로 4년 동안 1.7배 증가했다.

2017년 기준 신재생 가구 가운데 87%인 29만3000가구는 태양광을, 나머지 4만5000가구는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바이오, 소형풍력 등 비(非) 태양광 설비를 설치했다. 태양광 설비 비중이 높은 것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지원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사업별로 보면 주택 지원을 통해 신재생 설비를 설치한 가구가 29만4000가구로 87%에 달했고, 태양광 대여사업과 융·복합 지원이 각각 11%와 2%를 차지했다.

태양광 대여사업과 융·복합 지원은 2013년 도입됐기 때문에 2013년까지 누적 신재생 가구는 대부분 주택 지원사업으로 이뤄졌다.

2017년 에너지총조사 기초자료를 토대로 분석해보면 대다수 가구가 한국에너지공단의 보조금이 지원되는 상한 용량까지만 신재생 설비를 설치했다. 조사 대상 주택은 단독주택 3130가구다.

에너지원별 보조금 상한은 태양광 3kW, 지열 17.5kW, 연료전지 1kW이고, 보조금 상한에 맞춰 설비를 설치한 가구는 태양광 86%, 지열 89%, 연료전지 100%에 달했다.

추가로 설치할 여력이 있어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잉여 전력을 수익화할 방안이 마땅치 않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신재생 설비를 설치한 가구의 월평균 소득 수준은 태양광 가구 326만 원, 태양열 가구 306만 원 등으로 일반 가구 232만 원보다 높았다. 지열과 연료전지는 각각 386만 원과 506만 원이었다.

고령층과 1인 가구는 일반 가구보다 신재생 설비를 설치하는 비중이 작았다.

일반가구의 세대주 평균 나이는 64.5세인데 비해 태양광과 태양열 가구는 각 62.9세, 지열가구는 60.7세, 연료전지 가구는 50.1세로 젊었다. 태양광 설비의 경우 56세를 전후로 설비 설치 확률이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됐다.

일반가구는 1인 가구 비중이 25%였으나 신재생 가구는 가장 높은 태양열도 9%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태양광·태양열·지열은 읍·면 소재지에, 연료전지는 동 단위에 더 많이 분포했다.

보고서는 "이웃 간 지붕을 공유하거나 공동 설비를 설치해 물리적으로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지 못하는 가구도 혜택을 받고 비용을 낮춰 저소득층이나 1인 가구 등도 이익을 공유하기 쉽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