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인천공항 20분 주파, 수도권은 13분ㆍ서울 시내 9분 안 이동
2025년이면 드론 택시가 수도권 하늘을 날아다닐 전망이다. 서울 시내는 9분, 수도권은 13분 안에 어디든 이동이 가능해진다. 여의도에서 인천공항은 20분 만에 간다. 그러나 시행 초기 11만 원에 달하는 비싼 요금과 한 번에 여러 대가 서울 시내 상공에서 비행할 경우 소음ㆍ안전 문제 등이 우려된다.
국토교통부는 4일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차세대 모빌리티인 도심항공교통(이하 UAM:Urban Air Mobility)의 2025년 상용화를 주 내용으로 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확정‧발표했다.
국토부는 로드맵에서 2024년까지 비행실증, 2025년부터 상용화, 2035년 이후부터 자율비행이라는 단계적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인증・교통관리・이착륙장 등에 관한 제도 및 지원 인프라를 구체화했고, 관련한 UAM특별법을 2023년까지 제정할 계획이다.
UAM이 실현되면 서울 시내는 37분에서 9분, 수도권은 48분에서 13분으로 통행시간이 승용차 대비 각각 76%, 73%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초기 운임은 비싼 편이다. 국토부는 주요 구간인 40㎞ 비행(인천공항~여의도 수준) 시 11만 원으로 모범택시보다 비싼 수준으로 예측했다.
이랑 국토부 미래드론교통담당관은 “기체 구매와 인프라 구축 등 투자비용 등 고려 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시장이 활성화되고 자율비행으로 소요비용이 감소하면 일반 택시보다 저렴한 수준(2만 원)에 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번에 탈 수 있는 인원은 원래 최대 4명이지만 당분간 3명으로 제한된다. 인공지능(AI) 활용 자율비행을 목표로 개발 중이나 기술개발 시간 소요와 대중 수용성을 고려해 상용화부터 10여 년간 조종사가 탑승하기 때문이다.
UAM이 상용화되면 기존 항공기 대비 낮은 고도(300~600m)에서 도시당 UAM터미널(Vertiport) 30여 개와 300여 대(여객운송용)의 기체가 비행한다. 여기에 화물 운송용 드론 포함 시 1000여 대 이상 비행도 가능하다. 최대 1000여 대의 드론이 수도권 상공을 날 때 자칫 사고의 위험성도 우려된다. 소음은 최대 63dB(대화 수준) 목표로 헬기 대비 20% 수준으로 작지만, 소음에 대한 민원이 제기될 가능성도 크다.
이에 국토부는 UAM의 안전성 검증을 위해 화물 운송서비스를 우선 구현하고 산림・소방・경찰 등 기존 헬기를 활용하는 분야에서 2024년부터 초기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훈련・탐지・수송 등 헬기 활용 수요가 많은 국방 분야에서 적극 검토한다.
도심항공교통용 기체의 실제 모습을 국민들이 보다 쉽게 접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관광상품과 UAM테마파크 구축을 추진하고 안전 관련 통계가 부족한 초기 단계에는 민간보험사가 상품을 원활하게 출시할 수 있도록 정부 주도의 보험 표준모델을 개발・보급하기로 했다.
도심항공터미널(Vertiport)을 구축할 때 교통유발부담금 일부 감면, 기체 과세표준 마련 및 세제 혜택, 기체・충전설비 친환경 보조금 등 지원도 검토한다. 민간자본 조달을 우선 추진하며 기존 빌딩옥상에 구축된 헬리패드 활용도 병행하고 기존 복합환승센터과도 연계한다.
UAM은 기체(부품) 제작・유지보수(MRO), 운항・관제, 인프라, 서비스 및 보험 등 종합적인 산업생태계를 형성, 세계시장 규모가 2040년까지 73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의 경우 UAM 시장 규모가 13조 원에 이르면 16만 명 일자리 창출, 생산유발 23조 및 부가가치유발 11조 원 등 산업적 파급 효과도 예상된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2023년까지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UAM특별법 제정 추진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730조 원 규모의 도심항공교통 세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