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ㆍ수송ㆍ도시숲ㆍ신재생에너지ㆍ자원순환 5대 분야 집중 육성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가는 문명 대전환의 기로에서 ‘서울판 그린뉴딜’을 과감하게 추진해 탈(脫)탄소 경제ㆍ사회로의 대전환을 본격화하겠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8일 건물, 수송, 도시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등 5대 분야에 2022년까지 2조6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는 서울 지역 온실가스 배출의 약 94%를 차지하는 '3대 주범'인 건물(68.2%), 수송(19.4%), 폐기물(6%) 대책을 시행한다. 도시숲을 확대해 배출된 온실가스를 흡수하고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하는 전략을 병행한다.
우선 서울시는 모든 건물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그린 빌딩'으로 바꾼다. 공공건물부터 선도적으로 시작해 민간건물로 확대할 계획이다.
경로당, 어린이집, 보건소처럼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물 241곳에 2022년까지 2400억 원을 투입해 에너지 효율을 제로에너지건물 수준으로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시작한다.
더불어 내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인 공공건물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온실가스총량제’를 도입한다. 민간 신축건물에 대한 'ZEB 의무화'도 정부 로드맵보다 2년 앞당겨 2023년 시작한다.
수송 분야의 경우 서울의 모든 차량을 친환경 전기·수소차로 바꾸고 보행친화도시를 넘어 '그린 모빌리티'를 선도한다.
서울시 관용차량과 시내버스, 택시를 단계적으로 전기차‧수소차로 전면 교체한다. 아울러 2035년부터 배출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전기‧수소차만 등록 가능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한다.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에서는 전기ㆍ수소차만 운행할 수 있게 하고 2050년부터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22개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보행자 공간을 대폭 늘리고 따릉이 등 친환경 교통 인프라를 강화해 자동차 수요를 줄여나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숲과 공원을 확충해 배출된 온실가스를 흡수하도록 한다. 기후변화 대응 도시숲(85만㎡)을 신규 조성하고 2022년까지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완료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는 2000억 원을 투입해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추가로 확충한다. 서울시는 최근 8년간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10배 이상(2011년 25.2MW→2019년 385.2MW) 확대했다.
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 등 공공시설에 태양광 발전시설도 설치한다. 대규모 발전시설 설치가 어려운 도심에는 외벽·창호 등 건물 외부 곳곳을 활용하는 '건물일체형태양광(BIPV)'를 활성화 한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은 민간자본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발생한 폐기물은 다시 자원화하는 ‘순환경제’를 실현해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달성할 방침이다. 자원회수시설을 확대해 1자치구 1리앤업사이클플라자를 설치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그린뉴딜’을 통해 2022년까지 일자리 총 2만6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 시장은 "지난 8년간 지속가능성의 시대로 나아가는 체력을 키웠다면 이제는 체질을 완전히 바꾸는 혁명적 변화를 통해 그린뉴딜의 글로벌 표준모델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