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또 최악 고용부진, 체감 일자리 대책 안보인다

입력 2020-07-15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또다시 고용지표가 최악의 부진을 보였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도소매·숙박음식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했던 충격이 제조업까지, 또 모든 연령층의 실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만2000명 줄어든 2705만5000명에 그쳤다. 3월 이후 4개월 연속 감소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래 10년 5개월 만에 가장 긴 마이너스 추세다. 올해에 비하면 당시의 일자리 감소폭은 오히려 미미한 수준이었다.

산업별로 숙박·음식점업은 -18만6000명, 도소매업은 -17만6000명이었다. 특히 질 좋은 일자리인 제조업이 -6만5000명으로 넉 달 연속 줄었다. 문제는 제조업에서 3월 -2만3000명, 4월 -4만4000명, 5월 -5만7000명에 이어 감소폭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수출국의 이동제한 등 경제봉쇄로 자동차 수출 등이 큰 폭 쪼그라든 영향이 크지만, 한국 경제 경쟁력의 원천인 제조업 기반이 위협받고 있음을 뜻한다.

연령별로도 50대(-14만6000명), 40대(-18만 명), 30대(-19만5000명), 20대(-15만1000명) 등 경제활동의 모든 주력 계층에서 고용이 큰 폭 줄었다. 세금으로 만든 일자리가 많은 60대 이상에서만 33만8000명 증가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일자리가 16만4000명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과적으로 6월 실업자수는 전년 동월보다 9만1000명 늘어난 122만8000명, 실업률은 0.3%포인트(P) 높아진 4.3%를 기록했다. 두 지표 모두 같은 달 기준 통계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래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도 10.7%로 2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앞으로 고용시장이 개선될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코로나19 창궐이 멈추지 않으면서 장기화하는 국면이고 세계 각국의 경제활동이 언제 본격 재개되면서 회복될 수 있을지 안갯속이다. 홍콩 사태까지 겹쳐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또한 불확실성을 더해가고 있다. 상황이 갈수록 악화할 우려가 커진다.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만들어내는 것보다 지금 급한 일은 없다. 정부도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기는 하다. 3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57만5000개의 공공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판 뉴딜’로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자해 19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그럼에도 별로 손에 잡히지 않는다. 정부가 세금 풀어 공공일자리를 만드는 방식은 당장 급한 불을 끄는 데 도움되겠지만 지속성이 없다. 뉴딜 사업을 통한 수백만 개의 일자리도 아직 구호에 그칠 뿐 현실감이 부족하다. 민간 기업 중심으로 양질의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들고 지키는,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당장 절실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