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가 지원 여부ㆍ규모ㆍ방식 외 이해관계자 입장 등 변수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과의 인수합병(M&A) 딜 클로징(종료) 결정을 미루며 정부와의 논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스타항공이 기한 내에 선결조건을 이행하지 못했음에도 이른 시일 내에 정부의 적극적인 추가 지원 움직임이 있을 경우 인수 여부를 다시 고려해보겠다는 의미다.
다만, 정부가 추가적 지원을 결단한다 해도 지원 방법과 규모 뿐 아니라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등이 다양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은 16일 "이스타홀딩스의 선결조건 불이행으로 계약 해제가 가능해졌다"면서도 "정부 중재 노력 등을 고려해 추후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히며 여지를 남겼다.
당장 딜 클로징 할 수 있는 권한이 생겼지만, 최근 들어 정부가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를 적극 독려하고 있어서다.
최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과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계획대로 M&A를 완료할 것을 당부했다. 이후에는 고용노동부까지 나서 제주항공을 설득했다.
하지만, 정부가 추가 지원을 나선다 해도 제주항공은 고민이 많다.
국토부가 앞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약속한 인수자금(1700억 원) 외에 추가 지원이 가능하다고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지원 규모를 가늠하기 힘든데다, 오히려 제주항공의 적극적 요구를 전제하고 있다.
우선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선결조건으로 내걸었던 미지급금은 거의 해결되지 않았다.
제주항공에 따르면, 총 미지급금 1700억 원 중 3월 진행한 인수 계약 이후 발생한 금액 약 800억~1000억 원을 해소할 것으로 요구했지만 거의 진전되지 않았다.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 규모는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매달 약 200억~300억 원 가량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이스타항공은 "주식매매계약서상 의무가 아님에도 제주항공이 추가로 요청한 미지급금 해소에 대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주식매매계약서 상의 선행조건은 완료했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제주항공이 당초 끌어안고 가려고 했던 이스타항공의 부채 등을 더하면 그 규모는 어마어마해진다.
지난해 말 기준 이스타항공의 부채 규모는 2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량 늘었다.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고 있는 이스타항공의 지난해 영업손실 규모는 794억 원이었다.
또 2018년 12월 말부터 자본잠식률 50%에 육박했던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말부터 100%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있다. 1년 만에 그나마 절반 가량 남아있던 자본금이 바닥났을 뿐 아니라 632억 원의 결손금까지 쌓인 상황이다.
설상가상으로 정부의 인수자금 지원은 무상이 아닌 대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제주항공에게는 빚이 추가되는 것 뿐이다.
결국 정부의 추가 지원이 이뤄진다 해도 무상 지원이 아닌 이상, 제주항공에게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제주항공에게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이스타항공이 선결조건을 모두 이행해 1000억 원에 육박하는 미지급금을 해소한 상황에서 정부가 무상으로 추가 지원을 결정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기업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무조건적인 지원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우리에게 공이 넘어온 만큼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중재 노력을 하고 있는 정부와의 상호간 협의는 물론 2대 주주인 제주도 등 이해관계자들도 고려해 최종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